Q. 세관검사를 강화한다는데 체선료는 결국 화주가 부담하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세관검사 강화로 인한 지연 때문에 발생하는 체선료는 대부분 계약 구조상 화주가 부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선사는 선박 일정 차질에 따른 비용을 화주에게 청구하고, 세관은 공익적 검사라는 입장이기 때문에 책임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검사기관 역시 절차상 필요에 따른 조치라서 보상 구조가 따로 마련돼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화주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이 체선료를 떠안는 상황이 생기고, 이를 줄이려면 BL 조건 협상에서 체선료 분담을 명시하거나 보세창고 활용, 사전 신고자료를 철저히 준비해 검사 확률을 낮추는 방법이 현실적 대안입니다.
Q. AI로 관세환급의 사전예측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가능합니다만 데이터가 깔끔해야 합니다. 품목분류 HS, 과세가격, 신고번호, 환급사유코드, BOM, FTA 적용 여부 같은 필드를 ERP와 수입신고 이력에서 묶어 시계열+분류 모델로 학습하면 환급 가능성, 예상액, 소요기간을 미리 띄울 수 있습니다. 현장에선 부가세 조정, 환입대체투입, 원재료 가격변동이 변수라 피처로 넣어줘야 하고, 모델 성능 평가는 월별 정답데이터로 재학습해야 합니다. 대충 찍는 모델은 금방 깨지니 예외 루틴과 서류 체크리스트 자동생성까지 붙이면 쓸만한 체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