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5월 산업생산이 1.1프로 감소했다고 하는데요 산업생산이라는게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산업생산이라는 건 공장이나 광산 같은 데서 실제로 만들어낸 물건의 양을 말하는 건데, 제조업이나 광업, 전기가스 같은 생산 활동의 규모를 숫자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우리나라에선 통계청이 매달 조사해서 발표하는데, 공장 출하량이나 재고, 가동률 같은 것들을 토대로 종합해서 지수로 만듭니다. 이게 줄었다는 건 실제 물건을 만들어내는 활동이 전보다 줄어들었다는 뜻이라, 경기 흐름이나 기업들의 생산 심리를 파악할 때 자주 참고되는 수치입니다.
Q. 금 투자 관련 질문잇습니다(krx, etf등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krx 금시장에서 현물을 매수하면 증권사 매매 수수료 외엔 별도 보관료나 관리비는 따로 안 들고, 그냥 증권계좌 안에서 금처럼 존재하는 방식이라 따로 나가는 돈은 없습니다. 다만 실물 인출하면 부가세나 인출 수수료는 생깁니다. etf는 매수 시 거래수수료 외에 보유 중에도 자산운용보수라는 이름으로 연간 비용이 조금씩 빠져나가는데, 이건 따로 통장에서 나가는 건 아니고 etf 수익률에 녹아있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길게 보면 보유 기간에 따라 차이가 생기긴 합니다.
Q. 캐나다, 미국의 관세협정에서 이슈되는 디지털세는 어떤 산업들에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캐나다가 추진 중인 디지털세는 온라인 플랫폼, 검색엔진, SNS, 디지털 광고 같은 분야에 집중돼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매출이 많고 캐나다 내 사용자 기반이 큰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대상인데, 구글이나 애플, 메타 같은 기업들이 대표적입니다. 디지털 활동 자체가 워낙 폭넓다 보니 적용 범위가 꽤 넓은 편이며, 이로 인해 미국과 무역 협정에서도 마찰이 생긴 상태입니다.
Q. 지금이라도 네이버, 카카오 주식을 사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ai 정책이 강화되면 당연히 네이버나 카카오 같은 플랫폼 기업이 수혜 기대를 받긴 합니다. 특히 네이버는 자체 ai 엔진과 검색, 클라우드까지 손을 대고 있어서 정부 투자 방향이랑 잘 맞아떨어지는 측면도 있고요. 다만 이미 그런 기대가 주가에 선반영된 부분이 있을 수 있고, 실적이나 시장 점유율이 따라주지 않으면 기대감만으로는 한계가 올 수도 있습니다. 지금 사야 하냐는 건 본인의 투자 성향이랑 기간에 따라 다르겠지만, 무작정 따라가기보단 실적 흐름이랑 기술 경쟁력 같은 걸 좀 더 체크해보는 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