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형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전문가입니다.
김형준 전문가
청라 노동법률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8일 전 작성 됨
Q.
병가 휴가 및 연차 과 사용에 대한 급여 계산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병가 11일, 연차 3일을 사용한 경우 병가가 회사에서 유급으로 규정되어있지않다면 임금을 지급하지않아도 되나 연차 3일은 법적으로 유급처리되어야 합니다.퇴직금은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9조에 따라 퇴사 후 14일 내 지급되어야 하며, 별도의 퇴직연금제도를 운영하고있지않다면 1일 평균임금 x 30일 x 재직일수/365로 계산하고 인터넷에서 퇴직금계산기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휴일·휴가
28일 전 작성 됨
Q.
연장근무 시간에 대해 수당이 아닌 휴가로 지급하고자 할 때 서면합의가 반드시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57조에 따라 사용자와 근로자대표 서면합의가 있어야 합니다. 서면합의가 없이 임의로 진행한다면 말씀대로 임금체불이 될 수 있습니다.제57조(보상 휴가제)사용자는 근로자대표와의 서면 합의에 따라 제51조의3, 제52조제2항제2호 및 제56조에 따른 연장근로·야간근로 및 휴일근로 등에 대하여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갈음하여 휴가를 줄 수 있다.
임금체불
28일 전 작성 됨
Q.
7월7일 하루 알바 일당이 안들어옵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1일을 일하더라도 근로기준법 제36조에 따라 퇴사 후 14일 내에 임금이 지급되어야 하며 미지급 시 노동청에 진정할 수 있습니다.
기타 노무상담
28일 전 작성 됨
Q.
병가 신청 후 복귀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업무처리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당사자가 의식이 없는 상황이라면 연가를 사용하게 할 수도 없으므로 무급병가를 주던가 결근처리해야 합니다.
임금체불
28일 전 작성 됨
Q.
23번 코드로 퇴사 후 임금 체불 진정을 넣을시?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고용보험 상실신고 시 23번 코드는 경영상 해고 등을 말하므로 임금체불과는 무관합니다. 근로기준법 제36조에 따라 퇴사 후 14일 내 미지급 시 사업장 관할 노동청에 임금체불로 진정할 수 있습니다.진정한다고하여 실업급여에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76
77
78
79
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