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감기와 폐렴차이(빠른답변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노인들은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감기가 쉽게 폐렴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감기가 1-2주 이상 지속되거나,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폐렴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고열, 호흡곤란, 가슴 통증, 기침 시 가래나 피가 나오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의료 전문가의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감기는 일반적으로 1-2주 내에 호전되지만, 1주일 이상 지속되고 감기약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폐렴을 포함한 다른 질환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증상이 악화되거나 새로운 증상이 나타난다면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추가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감기는 콧물, 목의 통증, 기침, 가벼운 발열, 피로감, 두통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증상은 일반적으로 경미하며, 1-2주 내에 호전됩니다. 이에 반해 폐렴은 고열, 오한, 심한 기침, 가래(흰색, 노란색, 녹색 또는 피가 섞인), 호흡곤란, 가슴 통증, 피로, 근육통, 식욕 부진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은 심각할 수 있으며, 특히 호흡곤란과 가슴 통증이 특징적입니다.노인이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감기와 폐렴을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신속하게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폐렴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 세기관지 이하 폐조직에 염증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발열, 기침, 가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흉부 X-ray 사진에서 폐렴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이 확인됩니다. 폐렴의 원인으로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이 있으며, 드물게는 화학 물질이나 구토물 같은 물질을 흡입함으로써 폐에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항생제 덕분에 폐렴의 많은 경우가 완치되지만, 폐렴 원인균의 항생제 내성도 점점 더 강해지고 있어 폐렴은 예전보다 더 치료하기 어려워졌습니다. 폐렴이 생기면 기침, 가래,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특히 가래 색깔이 노랗거나 탁하게 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열, 오한이 동반되는 경우도 흔하지만, 경미한 폐렴의 경우에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피로감, 두통, 설사와 같은 비특이적인 증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폐렴은 증상과 징후 및 배양 검사의 결과를 통해 진단할 수 있지만, 각 개인에 따라 증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 균 배양이 되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지만, 이는 폐렴의 50% 정도에서만 이루어집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흉부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며, 객담 검사, 혈액 검사, 혈청 검사, 흉막액 배양 검사 등이 시행되기도 합니다. 폐렴의 치료에서는 주사 혹은 경구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외래에서 치료하고, 호흡 곤란 등 심한 증상이 나타나면 입원 치료를 진행합니다. 폐렴이 진행되면 패혈증이나 쇼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국소적인 합병증으로 흉수, 농흉, 폐농양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모든 폐렴 환자에게 합병증이 동반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위험군 환자는 합병증이 생길 확률이 높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Q. 의사들이 청진기를 사용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의사들이 청진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환자의 신체 내부 소리를 듣기 위해서입니다. 청진기를 사용하면 심장, 폐, 장 등의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건강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장을 청진하면 심박동 소리와 리듬을 들을 수 있는데, 이는 심장 판막의 기능이나 심부전과 같은 심장 문제를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폐를 청진할 때는 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 나는 소리를 듣습니다. 정상적인 폐 소리와 다르게 천명음(쌕쌕거림)이나 잡음(크랙클) 등이 들리면 천식, 폐렴, 기관지염, 폐부종 등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배를 청진하면 장의 움직임 소리를 들을 수 있는데, 장폐색이나 장의 운동이 너무 활발하거나 부족한 상태를 진단하는 데 유용합니다.청진기는 비침습적이며 즉각적으로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도구로, 의사들이 초기 진단을 내리거나 추가 검사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Q. 폐결절이 5mm 있는데요 혹시 비교분석으로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복부 CT 촬영에서는 종종 폐 하단부가 포함되기 때문에, 3개월 전에 찍은 복부 CT에서 폐 하단부가 촬영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복부 CT에 폐 하단부가 잘 나와 있다면, 폐결절의 변화를 비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폐결절이 있는 부위가 우측 하엽이라면, 복부 CT에 그 부위가 촬영되었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촬영 CD를 가지고 가서 비교 분석을 의뢰하는 것은 좋은 생각입니다. 의료 전문가나 방사선과 의사에게 이전 CT 영상을 보여주면, 그들이 새로운 CT 스캔과 비교하여 폐결절의 크기와 형태가 변화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폐결절의 변화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어 추가적인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Q. 방귀뀌다가 물똥이 나왔어요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갑작스러운 설사와 방귀로 인한 물 같은 배변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는 급성 위장관염, 식중독, 바이러스성 감염(예: 노로바이러스), 음식 섭취와 관련된 문제 또는 항생제 사용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설사는 대개 일시적인 문제로, 적절한 수분 섭취와 휴식을 통해 증상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증상이 계속되거나 악화되면, 특히 탈수 증상(구강 건조, 소변량 감소, 어지러움 등)이 나타날 경우,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증상이 심각하지 않다면, 몇 시간에서 하루 정도 경과를 지켜보고, 증상이 지속되면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