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성인용품 수입 절차 및 요건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개인적인 의견으로도 동 물품은 말씀하신 HSK 3926.90-9000으로 분류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HSK 3926.90-9000으로 분류되는 경우, 다음의 물품이 수입요건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수입식품안전관리특별법: 식품, 식품첨가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축산물에 접촉하는 기구 및 용기·포장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어린이용 물놀이기구, 합성수지제 어린이용품전기용품및생활용품안전관리법: 공기주입 물놀이기구 및 보우트저희 물품은 상기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공산품과 동일하게 수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통관 세금은 얼마부터 내고 얼마나 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해외직구 등 인터넷 구매하는 물품을 통관하는 방법으로 목록통관, 일반통관 두 가지가 있는데, 자가사용 해외직구물품에 대해 결제하는 금액이 목록통관으로 진행되는 경우 미화 150달러(미국발 미화 200달러), 일반통관(수입신고)으로 진행되는 경우 미화 150달러 이하인 경우 관세 및 부가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일반적으로 특송회사에서 지정한 관세법인이나 관세사무소 등을 통해 수입신고를 하고 수입통관을 진행합니다. 관세 부과를 위한 가격은 물품가격에 운송비 및 보험료 합계액(CIF 금액)이며, 물품마다 관세율이 상이하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관세율은 6.5%~13%입니다. 그리고 관세 뿐만 아니라 부가가치세, 기타 내국세가 부과될 수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과세가격: 물품가격+운임+보험료관세: 과세가격 x 관세율부가세: (과세가격 + 관세) x 부가가치세율 10%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관세와 부대비용만 매출원가에 포함되나요?(중국 제품 수입하여 국내 판매 시)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상품 수입을 위해 발생한 부가가치세도 매입세액으로 포함됩니다.그리고 매출원가에는 상품을 생산하거나 매입하여 판매하기까지 소모되는 모든 비용이 포함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중국 제품을 수입하여 국내에서 판매하기 위한 비용 중, 상품 매입비용뿐만 아니라 관세, 부가세, 부대비용 등도 매출원가에 모두 포함됩니다.추가로, 본 내용은 회계/세무 전문가에게 크로스체크 하시는게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DHL,ups 등등 택배업체 거리에 따른 가격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잘 알고 계시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거리, 무게 등에 따라 택배요금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일리노이는 중서부 지역이고 뉴저지는 동부 지역이어서 가격차이가 적게라도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택배요금은 정확한 도착위치, 어느 택배회사를 사용하는지 등에 따라 상이하므로 택배회사를 2~3군데 정한다음 견적을 산출해보시기를 바랍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예전 조선시대에는 어떤 방식으로 무역을 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잘 알고 계시는 바와 같이, 조선시대의 대외무역은 명나라와 청나라 등 중국과의 무역이 주축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대명무역은 사절을 통한 공무역과 사절 일행의 사무역 등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사무역은 원칙적으로 허용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사절 일행은 정사·부사·역관·호공관(護貢官) 등을 비롯하여 각종 수행원까지 합하면 보통 300∼600인에 달하였으며, 이들은 육로 또는 해로를 이용하여 북경(北京)에 도착하였습니다.대일무역도 사절을 통한 국신물 교환형태의 공무역이 원칙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조선 전기는 일본 정부가 직접 사절을 파견하기도 하였으나 후기부터는 주로 대마도주(對馬島主)가 일본국을 대표하여 세견선(歲遣船)을 보내옴으로써 양국간의 공무역이 이루어졌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파나마운하와 수에즈운하의 봉쇄가 무역에 심각한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MSC, Maersk, Hapag-Lloyd, CMA-CGM, HMM 등 주요 컨테이너 선사들은 예멘 반군의 위협으로 수에즈운하 이용을 중단하고 있습니다. *MSC, Maersk, Hapag-Lloyd, CMA-CGM, HMM : 전세계 컨테이너 선복량의 56.8% 차지이에 따라, 컨테이너 선사들은 아프리카 희망봉 우회를 선택하고 있으며, 수에즈운하 대비 운항 구간 약 9,650km 증가, 7~10일 추가 소요됩니다. 기존보다 긴 거리를 컨테이너선들이 운항해야 하므로 컨테이너선 실질 공급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나 글로벌 컨테이너 운임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고, 파나마 운하 가뭄으로 인해 북미 동안으로 가는 선박들이 수에즈 운하를 선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었으나 수에즈 운하 이슈로 납기 지연 발생 우려, 사우디아라비아 제다항 미기항 및 노선 변경 등의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중국에서 수입해서 한국에서 팔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대형스피커나 무선마이크 등의 물품을 수입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국내법에 따른 수입요건을 갖춰야 가능합니다.예를 들어 무선 마이크의 경우 HS 8518.10-9010로 분류되며, 전기용품및생활용품안전관리법에 따른 요건을 갖춰야 우리나라 반입이 가능합니다.정격전압이 30V초과 1000V이하의 교류전원 또는 42V초과, 1000V이하의 직류전원에 사용하는 다음의 공급자적합성확인대상 전기용품을 수입하고자 하는 자는 공급자적합성확인을 한 전기용품을 수입하여야 한다.● 무선마이크 시스템K. 세관장확인사항 (법령부호: 23)1. 안전인증대상 제품 :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세관장 확인물품 확인증2. 안전확인대상 제품 :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세관장 확인물품 확인증3. 공급자 적합성확인대상 제품 : 공급자적합성 확인신고 확인증명서(단, 전기용품에 한함)최우선적으로 관세사 등을 통해 수입(예정)물품의 HS Code를 분류하고, 그에 따른 수입요건이 있는지 확인한 다음, 수입요건이 있는 경우 해당 요건을 갖춰야 수입이 가능하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해외에서 구매한 물건이 2000불이 넘을 때, 국내에 가지고 오면 어느정도의 관세가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여행자 휴대품 면세한도는 1인당 800달러이며, 면세한도는 가족이 함께 입국하더라도 1인당 800달러 기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3명 가족의 면세 한도는 2,400달러로 보면 안 되고 1인당 각각 800달러로 계산해야 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말씀하신 바와 같이 해외에서 명품가방 1개를 2,000달러에 구매한 경우, 1인의 면세한도 800달러를 차감한 1,200달러에 대해서 관세 및 부가가치세 등 세금이 부과됩니다.면세범위를 초과하여 자진신고하는 경우 관세의 30%(20만원 한도)가 감면되는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신고 미이행시 납부세액의 40% 또는 60%(반복적 신고 미이행자)의 가산세가 부과됩니다.관세 등 세금 계산은 관세청 여행자 휴대품 예상 세액 조회 시스템 링크드리니 한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https://www.customs.go.kr/kcs/ad/tax/ItemTaxCalculation.do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외국에서 택스 리펀을 받으려면 우리나라에 와서 관세 신고를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일반적으로 물품 구매 시 물품가격에는 부가가치세(국가별 부가가치세율 상이함)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부가가치세는 소비지국 과세원칙에 따라 물품을 소비하는 국가에서 부과되는 것이며, 해외 여행을 하는 사람은 여행하는 국가가 아니라, 주로 귀국 후 물품을 소비하므로 납부한 부가가치세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텍스 리펀이라고 하는 것이죠.여행국가에서 구매한 물품의 부가가치세를 여행국가에서 귀국하기 전에 환급받습니다.모든 국가가 텍스 리펀 제도를 운영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럽과 아시아권에 있는 국가들이 주로 텍스 리펀 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우리나라 국민들이 많이 방문하는 중국과 미국은 해당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 않습니다.그리고 우리나라로 해당 물품을 가지고 입국하는 경우 우리나라 법에서 정하고 있는 세율만큼 세금을 납부합니다.우리나라 관세법에 따라 여행자 휴대품의 경우 물품가격이 일반적으로 800달러 이하면 관세, 부가가치세 등 세금이 부과되지 않으며, 800달러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한 금액에 관세는 6.5%~13% (물품에 따라 상이함), 부가가치세는 10% 부과된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관세, 부가가치세 외 추가로 부과되는 내국세가 있을 수 있음)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세계무역 기구가 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세계무역기구는 WTO(World Trade Organization)라고도 부르며, WTO는 무역 자유화를 통해 전 세계적인 경제 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기구입니다.1995년 1월 정식으로 출범하였으며, 우리나라는 WTO 출범과 함께 회원국으로 가입하였습니다.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으며, 현재 WTO 회원국가 수는 164개국 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WTO는 전세계 무역에 있어 분쟁 조정이나 관세 인하 요구, 반덤핑 규제 등 준사법적 권한과 구속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서비스·지적재산권 등 새로운 교역 과제도 포괄하여 세계교역을 증진시키는 역할도 하고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