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왕희성관세사 입니다.

안녕하세요. 왕희성관세사 입니다.

왕희성 전문가
더케이관세사무소
무역
무역 이미지
Q.  일본 여행 후 직접 영양제 구매하고 들어올 때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원칙적으로 입국 시 여행자휴대품으로 일반 의약품을 반입한다면 자가사용 목적으로 인정되는 것으로서 총 6병 이내(6병 초과의 경우, 의약품 용법상 3개월 복용량)의 경우에 한하여 요건 구비없이 통관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유해성분이 포함되어있거나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수입불허물품 등은 자가사용 인정기준을 충족하는 수량이라 하더라도, 통관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문의하신 파스의 경우, 일반 의약품에 해당(HS 3004.90-9900)될 것으로 보이므로 상기 면세한도 이내의 것만 반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무역용어중 하나인데 Advising Bank,Afloat goods,Aframax 이용어가 어떤 내용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1. Advising Bank신용장(L/C) 거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신용장 개설은행(Issuing Bank)의 요청을 받아 개설된 신용장을 통지하는 은행을 말합니다.즉, 신용장 개설은행이 직접 Seller에게 신용장을 통지하지 않고 Seller 소재지에 있는 거래은행이나 신용장 개설은행의 지점을 통하여 통지하는 경우, 해당 통지를 의뢰 받아 통지하는 은행을 통지은행이라고 합니다.2. Afloat goods기적화물로 화물이 운송도중에 매매되는 화물을 말합니다.3. Aframax50,000~90,000톤(dwt)급 탱커선을 말합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물류관련 용어인것 같내요 Bridge Crane,Bulk cargo,Broken space 이물류용어는 어떤 내용을뜻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1. Bridge Crane다리형 기중기, 천장 크레인, 브릿지 크레인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며, 토목용어사전 호스트가 이동하는 크레인 빔의 양끝에 지지각을 걸치고 그 하부에 주행 차륜을 설치하여 궤도를 주행하는 크레인을 말합니다.2. Bulk cargoBulk cargo란, 대량으로 운송되는 곡물, 광물, 유류 및 목재 등 운송 도중에 손상될 염려가 적어 포장하지 않은 채 운송하는 화물을 말합니다. 산화물, 산적화물이라고도 합니다.3. Broken space화물의 틈, 즉 화물을 적재할 수 없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화물관련 용어중 Cargo capacity measurement tonnage,Cargo Demurrage 이2가지 용어가 무슨뚯인가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1. Cargo capacity measurement tonnage재화용적톤수를 의미하며, 선창 내 화물을 탑재할 수 있는 총 용적을 말합니다. 국제적으로 ft3으로 표시하나 우리나라는 미터법에 따라 m3로 표시하고 있고, 재화용적에는 적재 화물의 종류에 따라 grain capacity, bale capacity의 두 가지 측정 방법이 있습니다.2. Cargo Demurrage화물유치료를 의미하며, 선박에서 하차된 화물이 Free time(무료장치기간) 기간 내에 화주에게 인수되지 않는 경우 경과된 일수에 대해 화주에게 부과하는 부과금으로, 대부분 야적장 정리를 위해 부과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청소용/세탁용 물비누 수입관련 건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말씀하신 청소 및 세탁용 비누의 경우, 화장용이 아닌 HS 3401.19-1010(세탁비누) 또는 HS 3401.10-1090(기타비누)으로 분류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상기 의견은 한정된 정보만을 통한 개인적인 판단이므로 법적인 효력은 없고, 호의 용어, 관련 부나 류의 주 규정, 호 해설서 해석에 따라 사람마다 의견은 상이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물품에 대한 정확한 HS CODE 결정이 필요한 경우 공적인 기관인 관세평가분류원에서 운영 중인 품목분류 사전심사제도를 활용해 보시기를 권고드립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https://www.customs.go.kr/cvnci/cm/cntnts/cntntsView.do?mi=3217&cntntsId=948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29만원 넘어가는 물건에 대한 통관절차문의입니다.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해외직구 등 인터넷 구매하는 물품을 통관하는 방법으로 목록통관, 일반통관 두 가지가 있는데, 자가사용 해외직구물품에 대해 결제하는 금액이 목록통관으로 진행되는 경우 미화 150달러(미국발 미화 200달러), 일반통관으로 진행되는 경우 미화 150달러 이하인 경우 관세 및 부가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말씀하신 바와 같이 면세한도를 초과되는 물품에 대하여 최초 결재 시 관세를 포함한 가격으로 결재하지 않은 경우 관세가 부과될 수 있고, 관세 뿐만 아니라 부가가치세(10%)까지 같이 부과된 세금을 납부해야 물품 수령이 가능하니 이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참고로 해외직구물품 예상세액 조회시스템이 있어 첨부드리니 한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https://www.customs.go.kr/kcs/ad/tax/BuyTaxCalculation.do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업무관련 해당 온라인 매체의 기사를 보고 있는데...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1. 반덤핑관세(Anti-Dumping Duty, AD)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수출된 상품의 수출가격이 수출국 내에서 소비되는 동종 상품에 대한 정상적인 거래에서 비교가능한 가격보다 낮을 경우 동 상품은 덤핑된 것, 즉 정상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다른 나라의 상거래에 도입된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품으로 인해 국내 산업이 실질적인 피해를 입거나 입을 우려가 있을 때, 조사를 실시하여 정상가격과 덤핑가격의 차액 범위 내에서 부과하는 관세를 반덤핑관세라고 합니다.2. 상계관세(Countervailing Duty, CVD)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수출된 상품이 수출국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고 가격경쟁력을 높여 다른 나라의 상거래에 도입된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품으로 인해 국내 산업이 실질적인 피해를 입거나 입을 우려가 있을 때, 조사를 실시하여 수입국 정부가 그 효과를 상쇄시키기 위해 수입상품의 보조금만큼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상계관세라고 합니다.3. 세이프가드(Safeguard)특정 물품의 수입이 급증하여 동종물품 또는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있는 물품을 생산하는 국내 산업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 수입국이 해당 물품의 관세율을 인상하거나 수입량을 제한하는 등의 조치를 세이프가드조치라고 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우리나라는 일본 수입 비중이 어느 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한국무역협회 K-STAT에서 2022년 총 수입금액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일본 수입 비중은 7.5% 정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간접수출도 수출실적 등록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수출실적 인정과 관련된 내용은 대외무역관리규정 제25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간접수출의 경우 내국신용장이나 구매확인서에 의하여 수출실적이 인정된다는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제25조(수출·수입실적의 인정범위) ① 수출실적의 인정범위는 다음 각 호로 한다. 3. 수출자 또는 수출 물품등의 제조업자에 대한 외화획득용 원료 또는 물품등의 공급 중 수출에 공하여 지는 것으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가. 내국신용장(Local L/C)에 의한 공급 나. 구매확인서에 의한 공급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CAO의 의미가 무엇인지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CAO는 CARGO AIRCRAFT ONLY의 약어로 일반여객기가 아닌 화물전용기에만 선적이 가능한 위험물을 의미합니다.일반적으로 MSDS 14번 항목에 있는 화물의 정보를 토대로 하여 IATA의 규정을 검토한 후에 위험물 여부를 판단하게 됩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1611621631641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