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가 자유무역협정을 채결한 중동국가는 어디어디인지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우리나라와 중동 국가간에 FTA 경우, 2022년 12월에 한-이스라엘 FTA가 발효되었고, 얼마전에 한-UAE CEPA가 정식 서명되어 국회 비준동의를 앞두고 있습니다.그리고 한-GCC FTA(사우디,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UAE)도 협상이 타결되어 서명을 앞두고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우리와 일본과의 자유무역협정은 추진하고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우리나라와 일본 간에 최초의 자유무역협정인 RCEP이 2022년 발효되었습니다.RCEP은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호주, 뉴질랜드, 아세안 10개국 총 15개국가 간에 체결된 협정입니다.그리고 현재 한-중-일 FTA도 협상 중이라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새로운 품목의 과일을 수입하기로 결정하는데 얼마나 걸리는지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관련 법령 및 검역 절차 등이 개정되어야 하고, 수입위험분석(WTO SPS 협정 등)에 따라 절차적으로 진행되므로 오랜시간이 소요됩니다.우리나라에 수입이 허용된 기존 76건의 생과일·열매채소의 경우 평균 8.1년이 소요되었고, 반대로 우리 농산물이 외국에 수출되기 위해 상대국의 위험분석 절차를 거친 경우의 평균 소요기간은 7.8년, 우리 감귤이 뉴질랜드에 수출이 허용되는 데는 23년이 걸렸다고 합니다.현재 사과의 경우 일본을 비롯해 뉴질랜드, 독일, 미국, 호주, 남아공, 브라질, 이탈리아, 포르투갈, 아르헨티나 등 11개 나라와 수입위험분석 절차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관세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은 주로 어떤 산업 분야에서 일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관세사 시험에 합격하면 다음과 같이 업무가 가능합니다.1. 관세사무소나 관세법인에서 근무2. 회계법인이나 법무법인에서 근무3. 개인 사무소 등 개업4. 기업 관세팀 등에 취직하여 근무5. 가산점을 받고 관세직 공무원 시험을 합격하여 관세직 공무원으로 근무주로 통상, 무역, 물류, 텍스 분야에서 근무하며, 근무지에 따라 처우는 천차만별이라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공정한 거래를 통한 개발도상국 지원에 대하여 질문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공정무역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불공정한 무역구조로 발생하는 부의 편중이나 환경파괴, 노동력 착취, 인권침해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무역의 형태입니다.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자립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생산자에게 보다 유리한 무역조건을 제공하며, 공정무역의 대표적인 물품으로 초콜릿, 커피 등이 있습니다.개발도상국의 생산자는 직거래를 통해 정당한 값을 받고 판매를 하기 때문에 경제적 자립에 큰 도움을 주고, 소비자는 공정무역을 통해 윤리적인 제품, 친환경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그러나, 일반제품에 비해서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선 찾을 이유가 없고, 공정무역이라고 거짓으로 밝혀 제품 단가를 높이는 등 거래방식의 투명성을 보장하지 못하며, 근무자들의 열악한 환경, 아동 노동착취 등 노동조건을 개선하지 못하고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해야 될 것 같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