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사람이 감동할때 나오는 호르몬이 무엇인가요??
질문주신 벅차오르는 '감동'을 받는 경우에 우리 몸에서 분비되는 호르몬들이 몇 있습니다. 4가지 호르몬이 대표적이라 볼 수 있는데 옥시토신과 도파민, 엔돌핀, 그리고 세로토닌입니다.옥시토신은 행복 호르몬이라고도 불리는 호르몬인데 신체적, 정신적 친밀감과 연관되어 사람이 행복할 때 주로 촉진되는 호르몬입니다. 도파민은 보상 호르몬인데 감동받은 순간에 대한 보상 반응으로 이 도파민의 분비가 늘어나며 행복감과 만족감을 느끼게 됩니다. 엔돌핀은 천연진통제라 불리는 호르몬으로 지나친 고통에 대한 진통 역할도 하지만 감동을 받았을 때에도 분비되어 행복감을 느끼게 합니다. 세로토닌은 안정 호르몬으로 감동적인 순간에 마음의 평화와 만족감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호르몬입니다.이렇듯 감동적인 순간에는 이러한 호르몬들의 분비로 행복감과 만족감, 편안함 등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Q. 세포와 유전자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세포에서부터 줌인 방식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세포는 생명체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 세포는 '세포막'으로 둘러싸인 '세포질'과 '세포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여기서 '세포막'은 세포를 둘러싼 얇은 막으로 세포 안밖의 물질 출입을 조절합니다. '세포질'은 세포 내부를 채우고 있는 젤리 같은 유동성 물질로 여러 세포 소기관들이 담겨 있는데, 대표적인 세포 소기관으로 미토콘드리아(에너지 공장 역할), 리보솜(단백질 공장 역할), 소포체(단백질 택배 시스템 역할) 등이 있습니다.'세포핵'은 유전 물질인 DNA가 있는 세포 내 가장 큰 구조물로 세포의 핵심이 되는 부분입니다. DNA는 아데닌(A), 구아닌(G), 시토신(C), 타이민(T)의 4가지 염기가 이중나선 구조로 구성된 긴 사슬 모양인데 이 염기 서열의 조합으로 유전 정보가 암호화됩니다. 이 DNA가 사실 우리 몸의 설계도 역할을 하는데 DNA->RNA->단백질 순서로 물질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합성된 단백질이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담당하는 핵심 물질로 효소, 호르몬, 항체 등 다양한 형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입니다.
Q. 인공 지능이 의료 분야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나요?
인공지능(AI)은 의료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데요, 먼저 영상 판독에 인공지능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AI가 X-ray, CT, MRI 등의 의료 영상을 분석하여 질병 여부를 감지하고 진단을 내리는건데, 실제로 구글의 인공지능 시스템은 유방암 진단에서 의사들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또 AI의 빅데이터 분석능력을 통해 환자의 유전체, 생활 습관 등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개인맞춤형 치료법을 처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IBM사의 AI인 왓슨이 있습니다.마지막으로는, 신약개발을 하는 많은 기업에서 AI를 활용하여 신약개발 속도를 비약적으로 상승시키게 되었습니다. 이전에는 신약 후보 물질을 찾아내고 시험해보는 것까지 일일이 사람 손을 거쳐야했다면 이제는 AI의 활용으로 수백개의 후보 물질들을 설계하고 예측할 수 있게 되어 신약개발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이렇듯 AI는 의료계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의료 서비스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