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5년 5월 2일 작성 됨
Q.
부엉이와 올빼미를 구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부엉이는 올뺴미와달리 머리에 귀처럼보이는 깃털이있고 귀깃이라고 부릅니다.또한 일반적으로 부엉이가 올뺴미보다 몸집이 큽니다.올뺴미들 중 일부는 낮에도 활동하기도하며,부엉이난 숲 가장자리나 개활지, 올뺴미는 숲 내부를 선호합니다.일단 둘다 올뺴미목에 속하기는하지만, 속과 종이 다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4월 24일 작성 됨
Q.
근친혼이 유전적으로 왜 안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근친혼을 하지않게되면 열성인자들끼리 만나서 질병을 일으키는 확률이 줄어들기때문입니다. 우성인자가 섞이게되면 보인자로써 질병이 발병하지는 않게됩니다.하지만 근친혼을하면 열성인자와 열성인자가 만나 짝을 이루게되면 그 자식은 무조건적으로 열성인자만을 갖고 태어납니다. 즉, 병의 되물림이 진행되고, 더 많은 열성인자들이 점점 짝을 이루면서세대를 거듭하면 할수록 점점 신체와 정신의 상태가 안좋아집니다.즉, 유전적으로 이득을 볼수가 없는 구조가 바로 근친혼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4월 24일 작성 됨
Q.
도시든 시골이든 일단 밤 시간에 불빛에 각종 벌레들이 모이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첫번째이유는 곤충들의 본능과 연관이 있습니다.자연에서는 열에너지를 받는것이 생존에 유리한데, 빛이있는곳에 열이 함께발생하기에 곤충들은 호광성이라는 성질을 갖고있습니다. 이에따라 빛에 이끌립니다.두번째로 몇몇곤충들은 빛을 이용해 방향이나 길을찾는데, 밤에는 이 빛을 태양빛이나 달빛으로 착각하여 모여듭니다.세번째는 이러한원리들로 곤충들이 몰려들기에 짝을찾거나 먹이를 찾는데 유리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이유로 곤충들이 빛에 몰려들곤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4월 23일 작성 됨
Q.
영원한 생명을 가진다는 해파리의 능력은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해파리는 성체에서 다시 유생시기로 퇴행이가능한데,세포가 다시 초기화되는 역분화 과저이라고도합니다.생물학적 나이를 리셋하는것이고,텔로미어와같은 길이 손상도 리셋과정에서 복구된다고합니다.즉, 노화대신 주기적으로 자신을 다시 젊게만드는 비법을 가지고있다는것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4월 23일 작성 됨
Q.
유럽에보면 곱슬머리가 많던데 곱슬머리로 태어나는 유전적 원리가 있나?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곱슬머리는 대표적인 유전형질인데, 모낭의 모양이나 자라는 털의 모양에따라 결정됩니다.보통 곱슬머리는 우성인경우가 많고, 서유럽이나 남유럽쪽에 곱슬머리비율이 높습니다.감사합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