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수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수연 전문가입니다.

이수연 전문가
임금·급여
임금·급여 이미지
Q.  영업일 기준 7일 근무한 회사 퇴사시 급여 계산
안녕하세요. 이수연 노무사입니다.자세한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명확한 답변은 어려우나최초 입사 후 7일만 근무했다는 가정 하에 일할 계산된 급여는 4500만원/12개월/31일*7일의 계산으로 산정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감사합니다.
휴일·휴가
휴일·휴가 이미지
Q.  중도퇴사시 연차발생 여부에 대해
안녕하세요. 이수연 노무사입니다.편의를 위해서 사내규정에 따라 회계기준으로 연차를 부여하는 것은 위법한 내용이 아니나 근로자가 퇴사시 연차수당을 계산하기 위한 잔여휴가 계산 시에는 최초 입사일을 기준으로 산정하여야 합니다.2019.5월 입사 기준으로 계산했을때 법정휴가는 아래와 같습니다.2019.05 ~ 2020.04 : 11일2021.05 ~ 2022.04 : 15일2022.05 ~ 2022:08 : 15일따라서 총 41일의 법정휴가 중 사용일수를 제외한 잔여휴가기간에 대해서 연차수당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해고·징계
해고·징계 이미지
Q.  부당해고 구제신청 근거자료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수연 노무사입니다.당사자간의 대화를 녹음한 것은 상대방의 동의가 없더라도 수집하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으며회사 메신저의 경우에는 영업비밀에 대한 내용이 적시되어 공개되는 등 회사에 불이익이 발생할 만한 내용이 없다면 문제되지 않을 것입니다.감사합니다.
휴일·휴가
휴일·휴가 이미지
Q.  회사에 제출한 사직서 사본 요청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수연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39조는 “① 사용자는 근로자가 퇴직한 후라도 사용 기간, 업무 종류, 지위와 임금, 그 밖에 필요한 사항에 관한 증명서를 청구하면 사실대로 적은 증명서를 즉시 내주어야 한다. ② 제1항의 증명서에는 근로자가 요구한 사항만을 적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근로자의 재취업에 유력한 참고자료가 되는 근무경력을 퇴직 후에도 근로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즉시 증명함으로써 근로자의 재취업을 원활히 하려는 데 이 제도의 취지가 있는데요.사직서는 근로기준법 제39조에 따른 사용증명서에 해당하지는 않기 때문에 당시 사직서 사본을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다가 근로자에게 제공해야할 의무는 없지만퇴직증명서는 사용증명서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하여 필요한 사항을 간접 증빙할 수는 있을 것입니다.감사합니다
휴일·휴가
휴일·휴가 이미지
Q.  사직서 제출을 하지 않았는데 퇴사 처리가 되었다면?
안녕하세요. 이수연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23조에서는 근로자가 업무상의 부상이나 질병, 임신으로 휴업하는 중에는 사용자가 이를 이유로 해고할 수 없다고 해고의 제한 사유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질문자님의 경우에 급성 심근경색이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지 여부는 불확실하지만, 적어도 질병기간 중에 해고에 대한 서면통보, 30일 전 해고 예고 등의 해고의 절차적 정당성을 아무것도 지키지 않았으므로이는 부당해고에 해당하며,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제기하여 구제받을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1011021031041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