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1월 5일 작성 됨
Q.
표준어로 정하는 기준이 수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에서의 표준어는 한국어로서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1933년 표준어와 한글 맞춤법이 시행되면서부터 두 가지가 함께 고려되었고, 현재 우리의 표준어와 한글 맞춤법에 대한 것은 1988년 1월 9일 문교부 고시로 고시되었다 합니다. 다른 지방의 말을 표준어로 할 수 도 있는데 그렇게 하면 공문서와 같은 표준화되어야 하는 것에 있어서는 소통이 안되는 수도 있기 때문에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을 표준어로 정하다 보니 당시의 서울말이 그러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지방의 방언들은 그 지역의 사람들이 아니면 이해할 수 없는 말들이 많으니까요.
2024년 11월 5일 작성 됨
Q.
결혼 날짜 받고 나서 장례식장에 가지 않는 것은 어떤 이유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그냥 좋은 일 앞두고 그런 곳에 가면 혹여나 나쁜 기운이 들까봐 걱정하여 가지 않는 것입니다. 아무 상관 없습니다.
2024년 11월 4일 작성 됨
Q.
SF 장르와 과학 발전에 관하여 질문.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SF 장르의 경우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과학들에 대해 제시되곤 합니다. 이것은 단순히 허무맹랑한 것이 아니라 기존에 증명된 과학에 근거하여 발전 가능하지만 가설 또는 제기된 문제 정도일 수 있는 것을 현실화하여 IF 라는 상황으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러한 것은 후대에 과학자들로 하여금 더욱 그 분야를 연구하게 하고, 가설을 정설로 상상을 현실로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합니다. 과거 인간의 생각을 심은 안드로이드가 사람의 일을 대신하고 겉모습은 사람과 똑같은 모습을 하게 된다는 영화나 만화영화 등도 방영되었었습니다. 당시에는 정말 그런 현실이 있을까 하는 상상과 의구심이 있었지만, 지금은 인공지능을 탑재하여 사람보다 더 똑똑한 AI로봇이 나왔으며, 사람의 피부와 유사한 조직을 만들어 입혀 아직 완벽하지는 않지만 사람에 가깝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문학작품이나 다른 작품에서 묘사되는 과학적 발전에 대한 가설이 언젠가는 과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현실화될 수 있는 개연성을 가집니다.
2024년 11월 4일 작성 됨
Q.
전쟁과 관련된 문학과 관련하여 질문.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전쟁이라는 것은 삶과 죽음의 경계에 있는 극한적인 경험입니다. 이것을 경험한 이들은 실제적으로도 굉장히 극단적인 변화를 나타냅니다. 긍정적이었던 사람이 부정적인 사람으로 변화하고, 타인에 대한 신뢰가 두터웠던 사람이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까지 거리를 두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문학작품에서 전쟁을 겪고 돌아온 주인공이 이전과는 완전 다른 칩거의 생활을 하며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서 트라우마를 겪는 나약한 인물로 변화하기도 합니다. 전쟁은 모든 것을 바꿉니다.
2024년 11월 4일 작성 됨
Q.
현대 문학에서의 여성의 역할에 관하여 질문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현대 문학에서 등장하는 여성의 역할은 작가도 그렇고 문학작품에 등장하는 캐릭터도 그렇고 현실의 관습이나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새로움을 추가하는 개혁가로서의 역할로 비쳐지고 있습니다. 해당 견해에 대해서 100% 찬성하는 입장은 아니지만 과거 여성은 차별받고 억압받았던 경험이 있고, 그것이 현대에서 잔존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므로 그러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91
92
93
94
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