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임종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임종현 전문가입니다.
임종현 전문가
청담해리슨송도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4년 8월 14일 작성 됨
Q.
발목 철심 복제거후 회복은 어찌 되나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철심을 제거하고 나서는 발목을 보호하는 안정기를 가진 이후 다시 발목의 안정성 및 가동성을 확보하기위해 재활을 하게됩니다. 철심제거 이후 재활은 가동성 및 근력을 만들고 일상생활에 문제없이 생활하게 하는것이 첫번째고 길게봐서는 기능을 최대한 향상시켜서 울퉁불퉁한곳이나 발이 미끄러지더라도 다시 원래대로 재빠르게 자리잡을수있는 고유수용성 감각을 키우는 재활을 하셔서 최대한 건강한측과 비슷한 기능까지 끌어올려주는 재활을 받으시는게 장기간으로 볼때 중요합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14일 작성 됨
Q.
허리가 뻐근한 경우에는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허리근육 뻐근감이 느껴지는것의 증상은 일시적일수도 있지만 원인을 파악하는것이 중요합니다. 허리 마사지를 받는것은 원인을 모르는채로 허리근육만 풀수밖에없기때문에 무작정 허리가 아프다고 허리근육을 풀어버린다면 허리를 더 불안정하게 만들수 있습니다 순간 시원하게 느끼실수도있지만 치료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않습니다. 정형외과나 신경외과에서 진료를 보시고 엑스레이를 토대로 도수치료 및 운동치료를 받는것이 좋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14일 작성 됨
Q.
등받이 없는 의자를 오랜기간사용하게되면 척추에 안좋은 영향을 끼치는지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등받이가 없는 의자는 허리를 펴는 근육에 지속적으로 힘을 주고 앉아야 하기때문에 허리의 근육피로도가 빠르게 증가합니다. 서있을때도 마찬가지로 허리에 힘을주고 서있는것이지만 서있는것과 앉아있는것의 차이는 앉아있으면 골반이 뒤로 넘어가는 후방경사가 되려는 힘을 허리에서 이기고 펴야하기에 더욱이 허리힘을 많이쓰게됩니다. 고로 등받이를 받쳐준다면 허리를 펴는 근육들이 그만큼 쉬어줄수가있습니다. 고로 의자에 앉을때는 등받이를 써주시는게 좋고 등받이없을때는 자주 일어나서 움직여주시고 다시 앉고를 중간중간 섞어주시는게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14일 작성 됨
Q.
뼈가 다치면 깁스를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다쳤을때 보호와 안정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골절뿐만아니라 염좌 등등 초반에 잘 고정이되고 안정되어야 이 후에 재활을 할때도 크게 문제없이 진행될수있습니다. 고로 움직이면 근육이 수축하기에 관절에 압박이 가거나 자극을 두게되므로 빠르게 회복되는것을 방해하기때문에 최대한 보호를 잘해주기위해 깁스를 하게됩니다. 깁스를하게되면 관절이 굳고 근육도 많이빠지게 되지만 그런부분이상으로 고정이 중요하다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14일 작성 됨
Q.
관절중에 가장 주요도가 높은 관절을 뽑자면 어디 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어깨 관절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깨관절은 인체 관절중에 가장 큰 움직임이 일어나는 관절입니다. 그만큼 사용도 많이되고 많이사용되는 것과 반대로 관절 접촉면적이 적어 안정성은 떨어져있는 관절입니다. 인체 관절에서 안중요한 관절이 없지만 개인적으로 어깨관절이 재활관점에서는 가장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14일 작성 됨
Q.
회전근개 봉합수술 7개월 후 잔통증이 있네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집에서 재활를 하고있으신상태인데도 통증이 남아있다면 가동범위가 끝까지 나오는지 기능적으로 끝범위에서 제대로 기능을 하는지 등등 조금 디테일한 부분까지 확인을 해주는것이 좋습니다.일상생활 가능한정도의 재활 수준과 디테일한 부분에서의 기능까지 가능한 재활은 차이가 날수있습니다. 도수 치료 및 운동 치료를 병행하시는것도 좋은방법이며 재활전문 운동센터도 고려를 해보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14일 작성 됨
Q.
팔꿈치를 어디에 부딪히지 않았는데 누를때 통증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팔꿈치에 붙는 근육들은 손목과 손가락에서부터 시작되는 근육들이기에 손가락이나 손목을 쓰는 운동을 하진않으셨는지 체크해볼 필요가 있을것같습니다. 보통은 자연스레 괜찮아질테니 시간을 가지고 조금 지켜보시고 계속 지속된다면 정형외과진료를 보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14일 작성 됨
Q.
허리 보호대 얼마동안 차면 무리가 갈까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허리를 많이쓰게되는동작에서 껴주시는게 좋습니다. 허리보호대는 허리에 안정성을 제공해주는 코어근육의 역할을 대신 해주는것입니다. 고로 코어근육이 많이 필요로하는상황 즉 허리를 많이쓸때입니다. 물건을 옮기거나 활동이많을때 사용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장기간 사용은 코어근육을 대신 해주는 보호대기 때문에 코어근육이 역할을 점점 덜하게되어서 코어근육이 약화될수있기때문에 쉬거나 잠잘때 등등 너무 장기간의 사용은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근본적으로는 코어근육을 활성화시켜주고 다양한환경에서 쓰일수있도록 운동하는것을 권해드리며 허리통증에서 벗어날수있길 응원합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14일 작성 됨
Q.
좌골신경통이 있는 사람이 코지마와 같은 안마의자를 이용하는 것은 좋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허리는 불안정할때 더 긴장하게됩니다. 즉 불안정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근육이 힘을주게 되고 그것때문에 허리가 뭉치며 통증이 발생하는데 그 불안정한부분을 풀어준다면 그만큼 코어근육들이 허리를 잘잡아줘야합니다. 허나 보통 코어운동없이 허리근육만을 푼다하시면 잡아줄수있는근육이 준비되지않는상태에서 허리를더 불안정하게 만들수있기때문에 허리 근육을 무조건 푸는것에는 이러한 단점도 동반된다는것을 알아주시면 좋겠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14일 작성 됨
Q.
서있거나 걸을때 허리가 너무 아픈데 치료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허리 근육이 쉽게 긴장하고 피로해지는것은 허리 쪽으로 근육의 힘을 많이 쓰는 습관으로 바뀌어 있을수 있습니다. 코어근육의 기능이 떨어질수록 그런 현상이 나타날수있으며 특히나 우측으로 다리까지 땡기는것은 단순 다리문제가 아니라 허리 디스크가 우측 다리신경을 압박하는 경우일수있습니다. 허리가 피로해짐과 다리증상이 같이 나타나는것으로 봐서 허리쪽으로 진료를 보시고 도수치료 및 운동치료로 정상적인 허리의 움직임과 기능을 회복하는것이 중요해보입니다. 허리긴장도를 방치할경우 디스크가 점점 더 튀어나올수있기때문에 증상이 커지기전에 진료보시는것을 권해드립니다.
156
157
158
159
1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