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최진솔 전문가
한양대학교
관세사 자격증
관세사 자격증 이미지
Q.  면세 향수 국내로 반입 시 한도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아래와 같이 질의사항에 답변드립니다.출국 시 면세점에서 구매한 100ml 향수를 일본에서 개봉하여 사용한 후 한국 입국 시 위탁수화물로 재반입할 예정입니다. 이 경우 기존 개인 소지품으로 취급되나요? 아니면 면세 한도 대상에 포함되나요?-> 면세 한도대상에 포함되게 됩니다만, 실질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이 제한적입니다.향수 면세 한도가 100ml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출국 시 구매한 100ml 향수가 입국 시 면세 한도 대상에 포함될 경우, 일본에서 추가로 구매한 향수들까지 총 140~150ml로 계산되어 100ml 초과 분량에 대해 관세가 부과되는 것이 맞을까요?-> 네 맞습니다.입국 시 100ml 향수만 본인이 소지하고 일본에서 구매한 나머지 향수는 동행인에게 맡겨둘 경우에도 관세 부과 대상이 될까요?-> 이 경우 엄밀하게 말씀드자면 탈루에 해당됩니다. 다만, 이러한 소유권에 대하여 확인하기가 어렵기에 실질적으로는 그냥 면세로 통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적발 시에는 가산세대상이 될 수도 있는 점 유의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우리나라 무역중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나라 순서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대상국 순위를 보면 단연 중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이 미국, 베트남, 홍콩, 일본, 인도, EU 등의 순으로 이어집니다. 2024년 기준으로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중국이 약 20% 안팎을 차지하고 있고, 미국은 15% 내외, 베트남은 8~9% 수준입니다.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디스플레이, 기계류 등이 주요 품목으로 이들 국가에 수출되고 있습니다.무역수지 측면에서는 중국과는 전통적으로 흑자 구조를 유지해왔으나, 최근에는 중국 내 생산기반 강화와 기술 자립, 경기 둔화 등으로 인해 흑자 폭이 줄고 있는 추세입니다. 미국과는 여전히 견조한 흑자를 유지하고 있으며, 베트남과도 안정적인 흑자 관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반면 일본과의 무역에서는 여전히 적자 구조가 유지되고 있는데, 이는 일본이 부품 및 소재 공급국으로 기능하기 때문입니다.앞으로 주목해야 할 수치는 단순한 수출액보다 무역수지의 질(흑자/적자 구조), 수출 품목 다변화, 그리고 신흥국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입니다. 특히 반도체 의존도를 낮추고 배터리, 친환경차, 바이오 등 차세대 산업에서의 수출 증가율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되며, 하나의 산업에만 의존하는 경우 해당 산업이 몰락하는 경우 경제가 몰락할 수도 있기에 유의가 필요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우리가 보는 환전소들은 어떻게 돈을 버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일반적으로 우리가 길거리나 공항, 관광지에서 보는 환전소(사설 환전소)는 주로 환율 차익(스프레드)와 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올립니다. 환전소는 외화를 살 때의 가격(매입율)과 외화를 팔 때의 가격(매도율) 사이의 차이를 통해 이익을 남깁니다.예를 들어:환전소에서 1달러를 살 때는 1,400원(매도율)1달러를 팔 때는 1,350원(매입율)이 경우 환전소는 50원의 차익을 얻게 됩니다. 이 차익이 곧 수익입니다.추가적으로, 일부 환전소는 소액 환전일 때 소정의 수수료를 별도로 부과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관광객 상대 환전소들은 경쟁이 치열해서 보통 환율 차익만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한국에 비해 일본의 조선 무역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일본은 오랜 조선업 전통과 정밀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조선 강국으로 자리매김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수십 년간 한국이 기술 혁신과 생산 효율성에서 앞서 나가며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LNG 운반선, 초대형 컨테이너선, 이중연료 추진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미국이 한국의 조선 능력을 높게 평가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입니다.2024년 기준으로 일본의 조선 시장 점유율은 약 4%로, 한국(17%)과 중국(70%)에 비해 낮은 수준입니다. 일본은 주로 중소형 상선과 특수 선박에 집중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선박 분야에서는 한국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집니다. 또한 일본의 조선업은 생산 능력 확대에 제약이 있어, 2028년까지 대부분의 생산 일정이 이미 확보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반면 한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조선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고급 선박 건조 기술과 친환경·스마트 조선 기술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과 생산 능력은 미국이 한국과의 조선 협력을 강화하려는 배경이 되며, 일본보다 한국을 더 매력적인 파트너로 인식하게 만드는 요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비교우위 특화적합 재화를 찾는 방법중 벡터 내적을 통해 찾는 방법에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저도 문외한이라 명확하게 답변을 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AI 질의를 통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남겨놓으니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사용자가 언급한 "벡터 정규화와 내적을 활용해 국가별 특화 재화를 찾는 방법"은 경제학에서 비교우위와 무역 특화를 분석하는 모델과 유사하며, 특히 국제무역 이론의 리카도 모형(Ricardian Model)이나 헥셔-올린 모형(Heckscher-Ohlin Model)에서 생산 가능성과 특화 패턴을 정량화하는 접근법과 맥락을 공유합니다. 그러나 벡터 정규화와 내적을 직접 활용한 사례는 표준 경제학 문헌에서 흔히 등장하지 않으며, 이는 수학적 기법(선형대수)을 응용한 계량경제학 또는 데이터 기반 무역 분석에서 최근 등장한 새로운 접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래에서 관련 경제 모델, 자료, 저서를 간단히 정리합니다.관련 경제 모델 및 이론리카도 모형 (Ricardian Model)내용: 각 국가의 생산 기술(노동생산성)을 비교해 비교우위에 따라 특화 재화를 결정. 예를 들어, 3개국(A, B, C)과 3개 재화(철강, 반도체, 섬유) 상황에서 노동 단위당 생산량을 벡터로 나타내고, 기회비용을 비교해 특화를 분석.연관성: 사용자의 벡터 정규화는 생산 가능성을 표준화해 비교우위를 식별하는 과정과 유사. 내적 값(1에 가까움)은 생산 효율성이 높은 재화를 식별하는 지표로 해석 가능.참고 자료:International Economics by Paul Krugman, Maurice Obstfeld (10판, 2017): 리카도 모형을 상세히 설명하며, 다국·다재화 사례 포함.논문: “The Ricardian Trade Model: A Geometric Approach”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1996) - 벡터 기반 비교우위 분석.헥셔-올린 모형 (Heckscher-Ohlin Model)내용: 국가의 자원(노동, 자본) 풍부도에 따라 특화 재화를 결정. 생산 벡터를 자원 투입량으로 구성하고, 이를 정규화해 자원 집약도를 비교하는 방식은 사용자의 방법과 유사.연관성: 자원 벡터를 정규화해 기준 벡터(예: 노동집약, 자본집약)와의 내적으로 특화 패턴을 식별하는 접근은 H-O 모형의 현대적 응용과 연결.참고 자료:Lectures on International Trade by Jagdish Bhagwati, Arvind Panagariya (1998): H-O 모형의 수학적 접근과 다재화 분석.논문: “Testing Trade Theories and Predicting Trade Flows” by Edward E. Leamer (Handbook of International Economics, 1984) - 자원 벡터 분석.계량경제학 및 데이터 기반 무역 분석내용: 최근 계량경제학에서는 선형대수(벡터 정규화, 내적)를 활용해 무역 패턴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생산 데이터(생산량, 비용)를 벡터화하고 클러스터링 또는 유사도 분석(코사인 유사도, 내적)을 통해 특화 재화를 식별.연관성: 사용자의 방법은 생산 벡터를 정규화해 코사인 유사도를 계산하는 방식과 동일하며, 이는 데이터 과학과 경제학의 융합 사례.참고 자료:논문: “Trade Speci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by Luca De Benedictis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2005) - 생산 벡터와 유사도 분석.Econometric Analysis of Trade by Pravin Krishna (2010): 무역 데이터의 벡터 분석 기법 설명.추천 저서 및 자료저서:International Economics (Paul Krugman, Maurice Obstfeld): 비교우위와 특화 이론을 다국·다재화로 확장해 설명. 비전공자도 이해 가능한 수학적 예제 포함.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Trade by Robert C. Feenstra (2017): 무역 패턴 분석에 선형대수 응용 사례 제공.The Geometry of International Trade by James E. Anderson (2008): 벡터와 내적을 활용한 무역 모델, 특히 생산 가능성 곡선의 기하학적 분석.논문 및 자료:“A Vector Space Model for Trade Specialization” (KISS 데이터베이스, 2018): 생산 벡터와 내적을 활용한 무역 특화 분석, 한국 사례 중심. KISS 검색 추천.WTO 보고서: World Trade Statistical Review 2024 (wto.org): 다국·다재화 무역 데이터로 특화 패턴 분석, 정규화 기법 간접 언급.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무역 구조 분석” 논문 리스트 (bok.or.kr) - 벡터 기반 특화 분석 사례.추가 권장사항사용자의 방법은 전통적 경제학보다 데이터 과학(코사인 유사도, 벡터 분석)과 융합된 현대적 접근에 가까우므로, 계량경제학 자료를 탐색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KOTRA의 무역 데이터 분석 보고서(TradeNavi) 또는 관세청의 HS 코드별 수출입 데이터(UNIPASS)를 활용해 생산 벡터를 구성하고, Python/R로 정규화·내적 분석을 시뮬레이션해보면 이론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감사합니다
2012022032042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