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최진솔 전문가
한양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무역
16일 전 작성 됨
Q.
미국 관세 오르면 수입물가가 바로 오를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현재 미국의 물가는 조용히 오르고 있으며, 이는 기업들이 결국 관세에 대하여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다만 트럼프의 압박에 따라서 가능하면 천천히 반영을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반영이 다되기 까지는 상당기간이 걸리게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현재까지는 재고를 팔았기에 관세로부터 자유로웠으나 이제부터는 관세를 납부한 물품을 팔아야되기에 실제 어떻게 될지는 정확하게 알 수 가 없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6일 전 작성 됨
Q.
여행용어댑터 안전인증 면제여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수출전용의 경우에는 별도로 국내에서 인증을 받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국내에서 유통을 하기 위하여는 인증을 받아야되는 점 참고부탁드리며, 수출 시에는 국내인증은 필요없으나 수입국의 인증을 받아야되기에 바이어와 잘 협의해보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6일 전 작성 됨
Q.
미국행 소형 소포 관세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네 맞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소비자의 부담이기에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가격이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따라서 현재로서 미국의 세수는 증가하겠지만 다른 국가의 기업들의 매출에는 악영향을 미친다고 보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6일 전 작성 됨
Q.
미국에서 한국 제품도 비싸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네 맞습니다. 이러한 관세가 결국에는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것이기에 이에 따라서 물품의 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습니다. 다만 이에 대하여 트럼프 정부가 강하게 압박하고 있기에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관세는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되지만 이에 대한 결과는 현재로서 아무도 예측할 수가 없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6일 전 작성 됨
Q.
관세 때문에 일자리가 늘어난다고 하는데 진짜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갑론을박이 있습니다. 트럼프는 관세부과로 수입물가가 상승한다면 미국에서 제조하는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논리입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트럼프의 푸쉬도 존재합니다. 다만, 이러한 미국의 제조업의 원재료도 결국 대부분 수입을 하여야되기에 미국의 인건비를 고려하였을때 크게 남는 장사가 아닐 수 있습니다. 아울러, 관세로 인하여 인플레이션 증가 및 미국 경제가 망가진다면 오히려 악영향이 더 크다는 시각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6일 전 작성 됨
Q.
집에 들어오는 수입 식재료나 화장품, 관세 적용되면 값 많이 오르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미국이 관세를 부과한 것이기에 한국과 상관없습니다. 그리고 미국에서 제조하여 한국으로 오는 물품은 극히 드물기에 한국의 수입물가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점 참고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6일 전 작성 됨
Q.
관세폭탄 뉴스 뜨면 자영업자 입장도 영향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미국의 관세부과이기에 한국의 경우 영향이 적습니다. 오히려 전세계적으로 재고가 증가하여 물품에 대한 가격이 하락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상황이 장기하되는 경우 공급망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점 참고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6일 전 작성 됨
Q.
MFN 기준 뭐가 맞아요? 통관때마다 세율 바뀌어서 혼란스럽네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러한 MFN은 기본관세로 변동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추과되는 세율이 계속 변경되고 있으며 간단하게 현재는 상호관세, 자동차 관세, 자동차 부품관세는 기본관세에 추가 15% 그리고 철강, 알루미늄 관세는 50%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철강, 알루미늄의 경우 함량 조절에 따라서 관세를 낮출 수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6일 전 작성 됨
Q.
최근 미중 기술패권 경쟁 심화가 한국 수출입 공급망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 연구 사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현재 반도체의 경우 구조적으로 중국이 따라오고 한국이 앞서가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행히 미국이 중국을 배척하면서 이러한 산업이 힘을 입고 있으나 반면에 중국의 추격을 계속 뿌리칠 수 있도록 R&D를 꾸준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필수소재에 대하여는 공급망 다변화 및 국산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6일 전 작성 됨
Q.
국제 무역 분쟁 심화 속에서 한국 기업의 리스크 관리 체계 및 무역금융 조달 전략 변화 사례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현재 미국의 관세로 인하여 한국 기업의 매출 리스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보통 대부분의 기업들은 이러한 관세 상황 및 판단에 따라서 빠른 선적 및 현지 통관 조절 등을 통하여 관세 최소화를 계획하였습니다. 아울러, 추가적으로 정부의 금융지원이 있는 경우 이를 통하여 최대한 손해를 헷징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