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최진솔 전문가
한양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무역
15일 전 작성 됨
Q.
AI가 수입자의 브랜드 위조 여부를 판별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추후에는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현재의 위조품 감정의 경우에도 결국 사람의 경험과 지식 그리고 판단에 따라서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AI가 학습할 수 있다면 인간과 유사하게 판단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5일 전 작성 됨
Q.
항만 자동 게이트에서 실시간 신고 연계가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해당 부분은 현재 개발되고 있는 기술이며 실시간으로 물품에 대한 정보확인 및 신고가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다만 워낙 다양한 기술들이 고려되고 있기에 RFID도 이중에서 하나라고 보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5일 전 작성 됨
Q.
데이터 거버넌스의 상호운용성은 어떻게될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각 데이터의 송수신이 원활한 경우에는 수출 및 수입에 대한 정보 일치화가 가능할듯 합니다. 다만 이러한 데이터의 보안성, 호환성 등의 문제가 있으며 신고자의 프라이버시 등도 고려사항이기에 쉽게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5일 전 작성 됨
Q.
블록체인 화물신고 사생활 보호가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프라이버시가 보장되지만 실질적으로 필요할지 여부에 대하여는 의문입니다. 이미 신고 정보는 각 화주들에게만 공개되며 다른 화주들에게는 공개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만 보안성의 측면 그리고 위변조 방지 측면에서 지금보다 더욱 뛰어난 기술로 판단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5일 전 작성 됨
Q.
멀티모달 HS코드 자동분류 적용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충분히 가능할듯 합니다. 다만 사진및 품명만으로는 분류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기에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는 미리 화주가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보완을 하면 더 정확한 분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6일 전 작성 됨
Q.
한미간 3500억달러 규모 투자기금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현재 트럼프 체제에서는 알 수가 없을 듯 합니다. 현재 한국, 일본, EU의 경우 체제에 순응하면서 협상을 완료하였으나 인도, 브라질 등의 경우에는 협상을 거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다만 이러한 국가들 중 결국 어떠한 국가가 더 이익을 볼지는 알 수가 없기에 현재로서는 알수 없다는 것이 맞다고 판단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6일 전 작성 됨
Q.
글로벌 무역 다자체제 약화가 국내 수출 경쟁력에 미치는 중장기적 영향은?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아직까지는 다자간 협상도 여전히 유효하지만 말씀하신대로 개별협정에 대한 협상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현실입니다. 이에 대하여 산업들은 정부를 통하여 필요한 국가에 대한 FTA 체결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러한 FTA가 체결되는 경우 저렴한 가격으로 더 많은 물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6일 전 작성 됨
Q.
신흥국 통상압력 증가에 따른 한국의 대미대중 통상 전략 변화 방향은?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현재 미국의 경우 관세로 그리고 중국은 자체기술의 개발 및 내수부진으로 수출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첨단기술의 경우에는 중국으로 수출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에 대하여 현재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대체시장을 찾거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출할 수 있는 것을 찾는 것입니다. 따라서 산업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한 전략이 다를 듯 하며, 가능하다면 미국 시장을 정면으로 돌파하는 방식을 노리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6일 전 작성 됨
Q.
관세가 오른다고 물가 전체가 오르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한국의 경우에는 이러한 부분에서 자유로우나 현재 미국에서는 현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으로 수입되는 대부분의 물품이 기본적으로 10% 관세가 부과되며 추가적으로 여러가지 관세가 국가마다 부과되게 됩니다. 따라서 현재 생산을 중국, 동남아에 의존하고 있던 미국 입장에서는 물품가격의 강한 상승을 체감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16일 전 작성 됨
Q.
내가 사는 스마트폰이나 전자제품, 관세 때문에 가격 바뀌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네 맞습니다.미국에서 생산한다 해도 부품은 다 해외에서 들어온다던데,-> 네 맞습니다. 즉 부품에 대하여도 이미 15% 관세가 부과됩니다.결국엔 소비자가 더 내는 거 아닌가요?-> 기업 입장에서는 이를 일부라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밖에 없기에 물가가 오르게 됩니다.다만 미국 한정의 이야기인점 참고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