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전문가
보건복지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5년 5월 30일 작성 됨
Q.
허리디스크 (요추3,4번)입니다 해서요즘디스크통증보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요추 3~4번 디스크 압박은 대퇴신경앞쪽을 드물게 외측 경로에도 방사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장딴지 옆 통증은 좌골신경통 가능성이 있어 다른 디스크 부ㅜ이 병변 동반 여부 확인이 필요해요!정밀 진단 후 신경 차단술이나 보존적 치료 병행을 권장드립니다!
정형외과
2025년 5월 30일 작성 됨
Q.
운동중 고통의 느낌이 달라졌어요 괜찮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근육통 대신 관절이나 뼈 부위 자극이 느껴진다면 자세 불균형이나 부하 분산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통증이 아니고 운동 후에도 불편함이 없다면 일시적일 수 있지만 계속된다면 자세 교정 및 휴식이 필요해요!어깨와 관절 부위에 자극이 지속되면 운동을 줄이고 전문가 상담을 권합니다!
정형외과
2025년 5월 30일 작성 됨
Q.
정형외과에서 이혈종 치료해주나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정형외과에서도 이혈종 치료가 가능하지만 귀는 이비인후과나 성형외과에서 더 익숙하게 다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형 정형외과라면 간단한 절개 베농은 가능할 수 있으니 문의해보시되 귀 관련 전문 진료를 원하시면 이비인후과를 추천합니다!
정형외과
2025년 5월 30일 작성 됨
Q.
경추염좌 증상이 있을땐 운동 금지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경추염좌 후 증상이 거의 사라졌더라도 당기는 느낌이 있다면 무리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벼운 러닝은 가능하지만 웨이트는 승모근이나 목에 부담을 줄 수 있어 점진적으로 시작하세요 경과가 길어지거나 불편감이 지속된다면 병원 진료를 받아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5년 5월 30일 작성 됨
Q.
발바닥 까진 상처,봉와직염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상처부위가 점점 붓고 열감 심한 통증 붉은기 퍼짐이 있다면 봉와직염 가능성이 있습니다 후시딘과 소독만으로 호전되지 않고 증상이 심해지면 바로 병원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초기엔 단순 감염처럼 보일 수 있어 경과 관찰이 중요합니다!
정형외과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운동으로 내성발톱이 생길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운동 중 발에 반복적인 압박과 마찰이 내성발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배드민턴처럼 빠른 방향 전환이 많은 운동은 엄지 발톱 주변에 부담을 줄수 있어요!조기 관리와 적절한 신발 착용으로 악화를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형외과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발등 찢어져서 꼬맨후에 실밥 풀기 위한 재방문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상처가 완전히 아물지 않아도 2주 후면 실밥 제거가 일반저깅고 의사 지시에 따르는 것이 안전합니다.더 늦게 방문해도 괜찮지만 감염이나 상처 부위를 보호하며 점진적으로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접질린 발목 기브스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기본적으로 뼈에 이상이 없고 인대 파열이 아닌 경우 반깁스는 잘 권하지 않습니다. 과도한 고정은 근력 약화와 관절 경직을 유발할 수 있어요 통증 심하면 정형외과에서 재평가 받고 필요 시 보호대나 부목 처방을 받을 수 있으니 상담해보세요!
정형외과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50대 남성이 하루에 걷는 걸음은 몇걸음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50대 남성은 하루 7천~만걸음정도 걷는 것이 건강에 좋다고 권장됩니다 무릎 통증이 있다면 무리하지 말고 통증 없는 범위 내에서 걷기와 저충격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연골 손상이 의심되면 전문의 상담 후 맞춤 운동 처방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재활·물리치료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허리디스크와 허리협착증은 무슨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허리디스크는 추간판이 탈출해 신경을 눌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고 허리협착증은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이 눌려 증상이 나타나는 만성 퇴행성 질환입니다. 두 질환 모두 통증과 신경 증상이 있지만 원인과 치료법에 차이가 있습니다!
476
477
478
479
4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