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박에녹 전문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 국어교육전공 석사
문학
문학 이미지
Q.  플라톤의 국가에서 정의로운 사회를 구성하는 세계층이 있잖아요?
플라톤은 정의의 본질을 생각함에 있어 먼저 사상 위에서 국가를 성립시키고, 어떠한 국가가 정의의 덕을 실현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그 후에 그 국가에서 개인은 어떠한 방식으로 살아야 하는지를 생각한다면 개인의 정의의 덕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국가는 맨 아래에 서민 계급으로서 농공상인, 그 위에 수비계급으로서의 군인, 최고의 자리에 통치자로서 철인이 있어 국가 통치의 임무를 담당하게 된다고 합니다. 플라톤에 의하면 이 통치자는 '선의 이데아'를 인식하는 사람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각 계급이 목표하는 덕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서민계급에는 절제의 덕, 군인계급에는 용기의 덕, 통치자는 지혜의 덕이며, 각각의 계급이 제각기 덕을 보존하여 자기 일을 실천할 때에 국가 전체의 정의를 실현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고전문학을 읽을때 읽는 방법이 따로 있나요?
고전문학은 과거를 살아간 작가가 당대의 사상과 감정을 담아 문학작품을 만들어 낸 것이기 때문에 현재의 관점과 생각으로 작품에 다가가게 된다면 정확한 이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고전문학 작품을 읽는다면 먼저 쉽게 읽을 수 있는 작품들을 위주로 감상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고전소설이라면 '홍길동전,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등의 판소리계 소설부터 시작하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배경지식 속에 간단한 줄거리를 이미 알고 있는 소설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고전소설들을 역사적 배경과 연결지어 감상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에 왜 영웅소설들이 많이 창작되게 되었는지, 한글소설이 평민, 중인계층들의 사상을 표현하는 문학갈래가 되었는지 등의 질문을 던져보며 작품을 읽게 된다면 확장된 앎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시에서 나오는 낯설게 하기라는 말은 무슨 뜻인가요?
낯설게 하기는 시에서 일상언어가 갖지 않거나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박자(운율), 비유, 역설 등의 규칙을 사용하여 일상언어와 다른 결합 규칙을 드러냅니다. 친숙하거나 반복되어 참신하지 않은 사물이나 관념을 특수화하고 낯설게 하여 새로운 느낌을 갖도록 표현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김광균 시인의 '데생'이라는 시에서 '먼 고가선 위에 밤이 켜진다'라는 표현은 날이 어두워지면서 별이 하나 둘 드러나기 시작하는 모습을 '밤이 켜진다'라고 표현하여 독자들에게 낯설지만 새로운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신동엽 시인은 '종로 5가'라는 시에서 '종로 5가 서시오 판 옆에서'라는 구절에서 신호등을 '서시오 판'이라고 새롭게 표현하여 낯설게하기의 방법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시를 통해 작가는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를 간접적인 방식으로 표현하고자 하는데 낯설게하기는 시인이 주제를 간접적으로 전달하는데 유용한 방법이 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속담의 형태 운율적 조화에 대해 또래학생이 이해할 수 있게 글로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까요?
속담은 압운과 율격의 두 가지 방법으로 운율적 조화가 나타납니다. 압운은 한시와 고전시가에서 주로 나타나는 운율적 표현으로 두운, 요운, 각운이 있습니다. 시행의 처음, 중간, 끝에 같은 운을 규칙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운율을 드러내는 방법을 말합니다. 속담에서 압운은 대구되는 구절의 같은 위치에 같은 발음이 배치되는 것으로 표현됩니다. '신첨지 신꼴을 보겠다.', '물어도 준치, 썩어도 생치', '가는 날이 장날' 등이 예가 되겠습니다. 율격을 통해 나타나는 운율적 조화의 모습은 우리나라 전통시가의 기본율격과 마찬가지로 4음절 길이를 1음보로 하는 2음보 및 4음보를 통해 표현됩니다. '공든 탑이 무너지랴.', '무른 땅에 말뚝 박기' 등이 예가 되겠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통사적 복문에 해당하는 속담이 무엇이 있을까요?
통사적 조화를 보이는 속담은 모두 중문이나 복문이 있는 긴 문장의 속담입니다. 중문은 '이어진 문장'으로 복문은 '안은 문장'으로 중, 고등학교 교과서에는 용어를 바꾸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연결어미를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문장이 이어진 경우(대등하게 또는 종속적으로)와 하나의 문장이 다른 문장을 문장성분으로 안은 형태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질문하신 '입은 거지는 먹어도, 벗은 거지는 못 먹는다.'는 이어진 문장(중문)으로 이루어진 속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예로는 '가루는 칠수록 고와지고, 말은 할수록 거칠어진다.',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내리사랑은 있어도 치사랑은 없다.' 등이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상징도 비유라고 말할수 있진 않나요?
상징은 추상적인 사물이나 관념 또는 사상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는 기법을 말합니다. 넓게 말하면 비유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차이점이 상징은 보조관념과 원관념의 관계가 1:多 즉 하나의 보조관념이 여러 원관념으로 해석된다는 것이다. 비유는 보조관념과 원관념의 관계가 1:1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신동엽 시인의 '껍데기는 가라'에서 '껍데기'라는 보조관념은 하나의 원관념으로 해석되지 않고 '허위, 가식, 부정적 세력'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것이 예가 되겠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국어랑 영어만으로 갈 수 있는 대학교와 과를 알려주세요
국어와 영어 점수만으로 가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수능 등급을 보는 학교들 중 4년제 대학 학교들은 대부분 국어 영어 사회탐구 과목 하나까지는 성적을 확인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4년제 대학이 아닌 전문대학 등의 경우에는 제한이 없는 학교들이 많이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관념적인 대상도 비유의 대상이 될수 있을까요?
관념적 대상도 비유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사랑', '미움', '슬픔', '평화' 등의 개념들을 구체적 대상을 가져와서 비유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직유법으로 표현하기에는 어색함이 있을 수 있지만 은유법을 사용하여 추상적 개념을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시' 나 '중'은 앞 글자와 붙여 써야 하나요?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을 참고하면 동작명사 뒤에 오는 '중', '시'를 의존명사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계획 중', '계획 시'라고 쓴느 것이 맞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접미사로 보는 경우도 있지만, 문법학계에 대부분의 의견은 의존명사로 보는 것이 맞다고 정해둔 것입니다. '계획 시'의 경우 '계획 때', '계획할 때'로 고쳐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wide와 broad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wide는 한쪽에서 다른 쪽까지 큰 거리를 확장하는, 상당한 범위를 가지는 등의 의미를 가집니다. 그리고 물리적인 거리나 공간을 나타낼 때도 사용합니다. broad는 물리적 공간 뿐만 아니라 개념적, 추상적인 넓이를 나타낼 때도 사용됩니다.The river is wide.(강이 넓다.)They discussed broad topics.(그들은 폭넓은 주제를 논의했다.)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