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박에녹 전문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 국어교육전공 석사
문학
문학 이미지
Q.  노래와 시를 사람들은 언제부터 시작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고대에는 시, 음악, 무용이 분리되지 않고 노래와 춤, 음악이 원시 종합 예술의 형태로 존재했다고 봅니다. 정확하게 언제부터 사람들이 노래와 시를 불렀는지 알 수는 없지만, 사람들에게는 예술적 창조에 대한 열망이 있기 때문에 함께 어울려 살기 시작했을 때부터 노래를 부르고 시(노래가사)를 만들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나라의 고대국가 시기의 종교적 제의로 진행된 고구려 동맹, 동예의 무천, 부여의 영고 등의 제천의식이 바로 원시 종합 예술의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신에게 바라는 바를 요청하고 공동체 구성원 간의 단합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습니다. 이때 공동체가 공유하고 있는 노래와 춤, 이야기를 함께 즐기는 원시종합예술의 형태가 나타난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달마대사의 대사는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대사는 불교에서 '불보살'을 높여 부르는 말로 시작되어 '승려'를 높여 이르는 말로 보편화되었습니다. 역사적으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불교의 법계 가운데 하나의 이름입니다. 달마대사는 중국 육조시대의 인도 승려로 불교 선종의 창시자입니다. '보리달마'라 부르는데 '달마'는 약칭입니다. 소림사에서 9년간 면벽수련을 한 끝에 깨달음을 얻었다고 합니다. 달마는 사람의 마음은 본래 청정한데, 오랜 수련을 통해 이를 깨달을 수 있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경전 중심의 교종 불교에서 벗어나 좌선 중심의 선종 불교를 주창한 인물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영어 z를 왜 제트라고 발음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z'를 제트라고 읽는 것은 일차적으로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일본식 영어발음의 영향을 받은 것이 잉입니다. 일본은 네덜란드를 거쳐 서양의 문물을 먼저 받아들였는데 'z'의 네덜란드식 발음이 [zet] 였던 것입니다 그래서 일본인들이 '제또'라고 발음하게 되었고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쳐 '제트'라고 발음하게 되었습니다.또 다른 이유는 'z'의 실제 발음이 우리나라 음운 중에 없는 발음이었기 때문에 한글로 표기하기에 마땅한 글자가 없습니다. [지:]라고 미국식으로 읽게 되면 'g'발음과 구별하기 어려워집니다. 'z'발음은 우리말로는 시옷과 지읒의 중간정도 위치에서 나는 소리입니다. 목젖이 울리는 유성음으로 우리말에는 없는 발음이어서 구분을 위해 '제트'라고 발음했던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기도를 마칠때 아멘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기독교에서 '아멘'은 기도나 찬송 또는 설교 끝에 그 내용에 동의하거나 그것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하는 말입니다. 유대교 성경과 기독교 성경에 있는 히브리어인 아멘은 '그러하다, 긍정적이다, 확실하다, 진실되다'의 의미를 가집니다. 보통 기독교에서는 기도의 마침으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그리고 목사님의 말씀 중에 교인이 그 말씀에 동의한다는의미로 '아멘'이라고 이야기 하기도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고대 그리스 문학 작품을 쉽게 이해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고대 그리스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를 하고 문학작품을 대한 다면 좀 더 깊이있는 이해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도시국가의 연합체였던 그리스의 특징을 생각하면 각 도시국가 별로 특색있는 문학 작품들이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그리스인들이 섬기던 신들이 매우 인간적인 모습을 하고 있었다는 것에서 그리스 문학도 인간중심적인 관점에서 만들어 졌으리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그리스 문학을 대한다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모음 탈락이 일어나는 경우, 발음과 표기가 일치한다는게 무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모음탈락은 모든 모음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모음 'ㅡ,ㅓ,ㅏ'가 탈락하는 경우를 이야기 합니다. 모음이 탈락하게 되면 음운의 소리가 완전히 사라지기 때문에 발음과 표기가 동일하게 됩니다. 재-었-다는 어간 'ㅔ,ㅐ' 아래에서 'ㅓ' 모음이 탈락하여 '쟀다'가 되었습니다. 쟀다의 발음은 [잳다](음절의 끝소리 현상), [잳따](된소리되기) 등의 다른 음운현상의 영향으로 발음이 달라진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왜 별똥별을 보고 소원을 빌면 이뤄진다는 얘기가 생긴걸까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별똥별(유성)이 떨어지는 시간은 약 1초에서 2초 사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순식간에 떨어지는 아름다운 유성을 보고 소원을 빌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1, 2초 안에 소망을 떠올릴만큼 간절한 사람이 소원을 이룰 수 있다는 의미로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나라의 고전문학중에서 유명한 작품에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한자로 지어진 문학작품 중에는 금오신화(김시습)가 최초의 작품이고 김시습의 방외인의 삶을 투영하고 문학성도 뛰어난 작품입니다. 조선후기 한글소설 중에서는 많은 좋은 작품들이 있는데 유명한 홍길동전(허균)은 신분제의 폐해와 문제를 드러내고 있으며 영웅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박씨전(작자미상)과 춘향전(작자미상)은 여성 주인공을 내세워 조선 후기 여성들의 의식의 성장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외에도 많은 좋은 작품들이 우리 나라 고전문학에도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시에서 모더니즘이 정확히 어떤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모더니즘 시는 산업혁명으로 급속한 사회 문화적인 변화가 나타나던 시기에 나타난 시의 갈래로 과거와는 다른 급속한 성장과 많은 변화를 가져온 산업화와 도시의 등장 등의 영향을 받아 전통적인 질서와의 단절을 통한 새로움을 시도하며 탄생한 시입니다. 산업혁명이 순차적으로 유럽에서부터 전세계로 퍼져 나가면서 각 나라와 시대에 따라 시의 특징과 모습은 다르게 나타납니다. 모더니즘은 전통보다는 개인의 특성을 중요하게 여기며, 이성적이고 합리적이며 도덕적인 것을 거부하기도 합니다. 모더니즘 시는 박자(운율)보다는 이미지를 중시합니다. 그리고 머릿 속에 그림이 떠오르게 하는 회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1930년대 정지용, 김기림, 김광균, 이상 등의 시인들로 시작하여 김수영, 박인환, 김춘수,이성복 등으로 모더니즘 시를 쓰는 시인들의 계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기림 '바다와 나비', 김광균 '추일서정', 김춘수의 '꽃' 등의 작품이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저항시의 본보기로 세계에서 극찬받는 작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저항시는 일제에 대한 저항을 내용으로 하는 시를 말합니다. 문학을 통해 조국의 독립을 요구하고 우리나라 백성들의 힘든 삶을 표현하는 내용들이 대부분입니다. 순수문학을 중심으로 하는 저항시에서는 깊은 문학적인 아름다움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1930년대 이육사, 윤동주, 이상화 등의신인들이 쓴 시로 일제의 탄압에 대하여 저항하는 내용을 담았으며, 시 작품을 통해 자신의 부끄러움과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자기 성찰을 보여주었습니다. 대부분의 시인들이 실제 독립운동에 가담하여 옥고를 치르거나 일제에 의해 목숨을 잃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저항시의 시인들은 작품 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삶을 통해서도 일제에 대한 저항의식을 보여주었습니다. 이육사 '광야', '절정',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윤동주 '서시', '쉽게 쓰여진 시', '별헤는 밤' 등이 저항시의 예가 되겠습니다.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