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박에녹 전문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 국어교육전공 석사
Q.  세계 저항시의 본보기라고 극찬받은 시 작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저항시는 일제에 대한 저항을 내용으로 하는 시입니다. 저항시는 1930년대 이육사, 윤동주, 이상화 등의 시인들이 쓴 시로 일제의 탄압에 저항하는 내용을 담았으며, 시 작품을 통해 일제강점기 현실을 변화시키지 못하는 식민지 지식인들의 부끄러움과 자기성찰을 보여 주었습니다. 윤동주 '서시', '쉽게 쓰여진 시', '십자가', 이육사의 '광야', '절정',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등이 대표적인 시입니다. 특히 이육사는 시로만 독립의 열망을 드러낸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독립운동을 하다가 일제로부터 고초를 겪었고 윤동주도 일제에 의해 결국 감옥에서 생을 마감하였습니다.
Q.  귀성길[귀성낄] 왜 된소리되기가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된소리되기는 우리말에서 자주 일어나는 음운변동의 하나입니다. 표기되는 경우보다는 발음 시에만 나타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한글 맞춤법 제3장 제5항에는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한 형태소 내부에서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 울림소리 다음에 나는 된소리는 된소리로 적음 예는 '꾀꼬리, 단짝' 등입니다. 다만 'ㄱ,ㅂ'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경우가 아니면 된소리로 적지 않음 예는 '깍두기', '뚝배기' 등입니다. 한글 맞춤법 제3장 제5항에서 핵심은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라는 부분이 중요합니다. '귀성길'은 한자어와 고유어의 합성 과정에서 된소리가 나게 됩니다. 그래서 울림소리 'o' 뒤에 된소리가 나지만 한 형태소 안에서 나타났다고 할 수가 없어 표기되지 않습니다.
Q.  청록파의 청록은 무엇을 뜻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청록파는 1946년에 간행된 '청록집'이라는 시집에서 유래된 이름입니다.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 세명의 시인들이 자신들의 시를 모아서 펴낸 시집입니다. 그리고 이 시집의 이름을 따서 이들을 청록파라고 불렀습니다. 세 시인은 각자의 개성을 지니고 있었지만 시가 정치, 사회적 목적 등의 다른 이유 때문에 수단이나 도구로 변질되어서는 안된다는 동일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는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이념 전파에 도구가 되었던 KARF 시에 대한 반발이었습니다. 청록파 시인들은 문학이 도구로 전락하는 것에 반발하여 순수문학을 지키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었고 우리말의 특징을 잘 살려 자연의 아름다움과 순수한 인간성을 드러내는 작품을 쓰고자 했습니다. 청록(靑綠)은 '푸른 빛을 띤 초록색'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청록파 시인들이 시적성향에 맞는 이름이라 할 수 있습니다.
Q.  장편 소설과 단편 소설의 차이점을 알려 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장편소설과 단편소설은 기본적으로 소설의 길이로 구분되는 것은 맞습니다. 단편소설은 200자 원고지 150매 이내의 소설을 말합니다. 길이 외에도 단편소설은 장편소설과 달리 밀도 높은 기획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순간적인 기지나 재치로 빠르게 써내려 갈 수 있습니다. 장편소설은 길이가 200자 원고지 1,000매 이상의 분량을 지닌 소설을 주로 이야기합니다. 근대문학에서는 이광수의 ‘무정’을 장편소설의 본격적인 출발점으로 봅니다. 현대의 우리나라 대표적인 장편소설에는 박경리의 ‘토지’, 황석영의 ‘장길산’, 조정래의 ‘태백산맥’ 등이 있습니다.
Q.  시 에서 은유와 직유는 어떻게 사용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비유법에 속하는 은유와 직유는 시의 주제를 숨겨서 아름답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은유는 A는 B이다의 형식으로 주로 나타나고 원관념을 드러내기 위해 보조관념을 가져옵니다. ‘내 마음(원관념)은 호수(보조관념)요.’ 가 은유의 예입니다.작유는 동일하게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나타는데 이를 ‘같이, 처럼 ~듯이’ 등과 같은 연결어를 사용하여 표현합니다.‘사과(보조관념)같은 내 얼굴(원관념)’이 직유의 예가 됩니다.
1761771781791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