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시조가 융성한 진짜 이유가 어떻게 되나요?
고려 후기에 이르러 신흥사대부들이 역사적 전환기를 맞아 경기체가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유교적 관념과 주관적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 창안된 양식입니다. 경기체가는 객관적 사실을 그리기에만 적합하였을 뿐 내면적 정서를 표현하기에는 부적절했기 때문입니다. 시조는 한시, 10구체 향가 3단구조, 고려가요 만전춘별사의 분장 형태의 영향을 받았으며, 민요 두 줄 형식의 영향도 받았습니다. 시조가 조선시대에 대표 시가가 됐던 이유는 위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선비들이 그들의 성리학적 세계관을 표출하기에 알맞은 문학형식을 창조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시조는 형식과 운율이 매우 안정적이고 단아하여 유학자나 사대부들이 그들의 사상과 감정을 절제하여 표현하는데에 가장 적절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