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박에녹 전문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 국어교육전공 석사
문학
문학 이미지
Q.  중세 한국어의 아래아와 제주도 방언의 아래아는 유사한 발음인가요?
‘·’(아래아)는 훈문정음 문자의 홀소리 중 하나로 중세국어 시기까지는 소리값(음가)를 가지고 실제 발음되어 사용되다가 현재는 소실되어 다른 모음 소리로 변화되었습니다. ‘·’가 첫음절에서는 'ㅏ'로 둘째 음절 이하에서는 'ㅡ'로 바뀌면서 소리가 사라지게 되고 국어의 양성모음과 음성모음의 대립현상이 깨져 모음조화에 영향을 주게 되었습니다. 경상도 일부와 제주도에는 소리값(음가)을 가지고 남아있습니다. 제주어에서는 후설(혀 뒤쪽) 원순(둥근 입술) 저모음(낮은 모음)의 소리값(음가)으로 남아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고려가요와 시조는 음보율이 어떻게 되나요?
시에는 운율이 있습니다. 운율은 박자를 나타내고 시의 박자는 낭송자가 끊어있는 부분으로 나타납니다. 보통 시의 운율은 시어 또는 시구의 반복으로 나타나고 우리나라 시에서는 음절의 숫자가 일정하게 반복되어 형성되는 음수율과 호흡의 단위가 일정하게 반복되어 박자가 형성되는 음보율이 있습니다. 음보란 끊어 읽거나 숨을 쉬는 단위입니다. 음보율은 2음보, 3음보, 4음보 등 다양한 형태를 생각할 수 있는데 고전 시가에서는 3음보와 4음보가 주를 이룹니다. 3음보 율격은 민요와 고려가요에서 나타납니다. 3음보율은 4음보율에 비해 호흡이 빨라 비교적 경쾌하고 발랄한 느낌을 줍니다. 고려가요 '가시리'의 가시리-가시리-잇고 /버리고-가시리-잇고 와 청산별곡의 살어리-살어리-랏다/ 청산에-살어리-랏다 등이 3음보 율격의 예가 됩니다. 고려가요는 후렴구와 여음구를 빼면 대부분의 작품이 3음보 율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시조는 4음보율을 지니고 있습니다. 호흡의 단위가 긴 4음보율은 장중하고 여유로운 의미를 줍니다. 이순신의 '한산섬 달 밝은 맘' 평시조 초장은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로 4부분으로 나누어지고 있습니다. 거의 모든 시조는 4음보율로 되어 있는데 4음보율은 3음보율에 비해 안정감을 더 줍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국어의 음운 중 반모음은 모음에 가까운가요, 자음에 가까운가요?
반모음은 모음처럼 자음과 같이 모음에 기대어야지만 발음할 수 있는 모음을 이야기합니다. 이중모음 속에서 발음되는 모음으로 자립성이 없는 모음이라고 이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국어의 반모음은 'y'(ㅣ)와 'w'(ㅗ/ㅜ)가 있고 이들이 모음과 결합하여 이중모음을 형성합니다. 반모음은 모음과 자음의 성질을 모두 갖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형태와 소리가 나는 원리 등으로 볼 때 자립하여 쓰이지 못한 다는 부분 외에는 모음에 속한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소설 우주전쟁이 라디오로 방송했을때 사람들이 착각해 패닉에 빠져 피난갔다는게 실제로 있었던 일인가요?
소설 우주전쟁을 라디오로 각색한 드라마는 1939년 10월 30일 오후 8시 CBS 라디오를 통해 방송되었습니다. 시작된 후 연출자 오손 웰즈가 소설 내용 초반부에 대한 설명을 합니다. 대략 230만명이 라디오를 듣고 있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는데 드라마 방송이 진행되다가 갑자기 평범한 일기예보가 나오고 그 후에 음악방송이 이어집니다. 일기예보와 음악방송도 드라마의 연장이었던 것입니다. 그 후 뉴욕 호텔 플라자 실황공연(실제론 CBS 교향악단) 방송(이 부분도 드라마의 연속)이 갑자기 중단되면서 외계인 침공 과정이 설명하기 시작됩니다. 지진파 탐지, 기자의 외계인 침공 상황 보고, 주방위군의 발표 등이 나오면서 이 모두가 드라마였음에도 경찰청에 전화가 오고 피난을 가겠다고 거리로 나온 사람들이 수백명이 넘었다고 합니다. 각 방송사에도 문의전화가 쏟아지는 등 큰 혼란이 있었다고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시조가 융성한 진짜 이유가 어떻게 되나요?
고려 후기에 이르러 신흥사대부들이 역사적 전환기를 맞아 경기체가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유교적 관념과 주관적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 창안된 양식입니다. 경기체가는 객관적 사실을 그리기에만 적합하였을 뿐 내면적 정서를 표현하기에는 부적절했기 때문입니다. 시조는 한시, 10구체 향가 3단구조, 고려가요 만전춘별사의 분장 형태의 영향을 받았으며, 민요 두 줄 형식의 영향도 받았습니다. 시조가 조선시대에 대표 시가가 됐던 이유는 위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선비들이 그들의 성리학적 세계관을 표출하기에 알맞은 문학형식을 창조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시조는 형식과 운율이 매우 안정적이고 단아하여 유학자나 사대부들이 그들의 사상과 감정을 절제하여 표현하는데에 가장 적절하였습니다.
2212222232242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