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청산별곡의 얄리얄리얄라셩은 무슨 뜻을 나타내나요?
안녕하세요? 문학 전문가 박에녹입니다. 청산별곡은 고려인들의 정서를 문학적으로 잘 담아낸 고려속요입니다. 이 작품의 화자는 삶의 고통과 힘듦으로 인해 '청산', '바다'로 표현되는 안식처를 찾아 삶의 고통을 이겨내고자 합니다. 고려시대 민중들의 삶의 고뇌와 애환을 비유와 상징을 통해 잘 보여주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후렴구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는 악기의 의성어로 흥을 돋우고 노래의 박자를 맞추기 위한 것입니다. 시 속에서 각 연을 나누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형식적 동질성을 시가 가지도록 합니다. 'ㄹ,ㅇ' 음의 연속으로 사용해 매끄러운 음악적 효과를 내며, 밝고 명랑한 느낌을 줍니다.
Q. 고려가요를 왜 남녀 상열지사라고 불렀나요?
안녕하세요? 문학 전문가 박에녹입니다. 고려가요는 경기체가와 고려속요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경기체가는 고려 고종 때부터 조선 선조때까지 이어진 시가의 형태입니다. 주로 사대부 계층의 자연 속에서의 삶을 노래하거나 유교적 이념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고려속요는 평민들에게 유행하던 민요를 바탕으로한 시가로서 아름답고 세련된 표현이 특징이고 남녀간의 사랑, 자연에 대한 예찬, 이별에 대한 아쉬움 등 평민들의 풍부한 감정과 정서가 가사에 드러납니다. 고려가요 작품들은 남녀상열지사의 내용으로 조선시대 양반사대부들에게 비판을 받았습니다. 그 이유는 남녀 사이의 사랑을 노래한 고려가요들이 자유분방한 내용과 사실적인 표현으로 인해 유교적 이념을 중시했던 조선의 양반 사대부들이 용납할 수 없었던 부분들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조선시대에 많은 고려가요들이 정리되면서 '남녀상열지사'라고 하여 배제되거나 가사가 수정되었습니다. 쌍화점, 이상곡, 서경별곡, 가시리 등의 고려가요들이 이렇게 편집된 형태로 전해진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