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박에녹 전문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 국어교육전공 석사
문학
문학 이미지
Q.  높은 성의 사나이라는 소설은 어떤 설정을 배경으로 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높은 성의 사나이"(The Man in the High Castle)는 미국의 SF 작가 필립 K. 딕(Philip K. Dick)이 1962년에 발표한 대체 역사 소설입니다. 이 소설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추축국(독일과 일본)이 승리한 세계를 배경으로 하며, 그로 인해 1960년대의 미국이 나치 독일과 대일본 제국에 의해 분할 통치되는 설정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고려향가에는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향가는 신라시대의 시가이지만 그 전통이 12세기 고려시대에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문학적 전성기는 통일신라 시대였지만 작품의 창작이 고려시대까지 이어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신라 진성여황 시대 위홍이 삼대목(三代目)이라는 향가집을 만들었다는 기록은 있지만 책은 남아있지 않습니다. 신라 향가는 삼국유사에 14수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고려시대 향가는 균여가 쓴 것으로 전해지는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가 균여전에 실려 있습니다. 이 작품들은 화엄경의 수행신심(修行信心)을 시적으로 형상화 하고 있으며, 모두 10구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밖에도 고려 예종이 고려 건국의 공신을 추모하는 뜻으로 지은 도이장가(悼二將歌)라든지, 고려 시대의 문신 정서가 왕에 대한 자신의 충성심을 간절하게 노래한 정과정곡(鄭瓜亭曲)이 향가의 형식적 특성을 그래로 지니고 있습니다. 그리고 고려 의종이 신하들과 더불어 향가로써 시회를 베풀었다는 기록도 남아있지만 작품은 전해지지 않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명작은 결과를알고도 보게된다...명언일까요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명작은 결과를 알고도 보게 된다'는 말은 훌륭한 작품은 결말을 이미 알더라도 그 과정이 충분히 매력적이어서 다시 보거나 읽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즉, 명작은 탁단순히 결말이 아니라, 이야기의 전개, 인물의 감정, 상징, 연출 등의 모든 요소가 탁월하기 때문에 결말을 미리 알아도 그 과정에서 얻는 감동과 재미가 여전하다는 뜻입니다. 명언이라고 판단해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좋은 작품을 보기 원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드러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곰팡이라는 말은 순수 우리말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곰팡이의 사전적 의미는 몸의 구조가 간단한 하등 균류를 통틀어 이는 말이고 곰팽이는 곰팡이의 방언입니다. 곰팡이의 '곰'은 명사로 15세기 문헌에 등장하지만 어원은 알기 어렵습니다. '곰팡'은 19세기 문헌에 나타나는데 '곰피~'와 접미사 '~앙'이 결합된 단어 '곰피앙'이 줄어든 어형입니다. 동사 '곰피다'는 명사 '곰'과 동사 '피다'가 결합된 어형으로 '곰팡이가 피다'는 뜻으로 지금도 쓰이는 표현입니다. '곰팡'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어형이 바로 '곰팡이'입니다. 곰팡이는 '순우리말'로 볼 수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망부석 설화를 모티브로 한 작품이 또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김동리의 단편소설 '바위'의 복바위는 망부석 설화의 모티브가 나타나 있습니다. 1936년 신동아 5월호에 발표된 단편소설로 한센병 여인의 비극적 삶과 죽음을 형사화한 작품입니다. 모정과 '복바위 신앙'을 바탕으로한 토착정서가 잘 나타나 있습니다. 모성의 아름다움, 혈육의 끈끈함을 통해 인생의 진실을 말해 주고 있으며, '복바위'라는 샤머니즘적 사물을 등장시켜 토속적인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전래 설화 중 바위에 얽힌 이야기가 많은데 이는 자연물에 신적인 힘이 있다는 믿음에 유래하고 있습니다. 복바위의 상징성은 망부석 설화의 모티브와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간절한 바람이 인간을 돌로 만들었다는 망부석에 얽힌 다양한 설화는 복바위를 껴안고 죽은 여인의 모습으로 현재화 되고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깡패라는 단어의 어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깡패라는 단어는 1932년부터 '깡'을 '습격단'이라는 뜻으로 사용했던 한국어 신문 기사들이 발견된다. 즉, '깡패'의 어원은 영어의 '갱(Gang)이며, 이를 '깡'으로 음차한 것이다. 이 단어는 경우에 따라 '깽'이라고 표기되기도 했다. 패거리라는 뜻의 '패'는 1953년부터 뒤에 붙은 형태로 발견된다. 초기에는 무질서하고 폭력적인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폭력 조직원이나 불량배를 의미하는 단어로 자리잡았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인종차별적 요소가 많은 소설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소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인종차별적 요소가 포함된 작품으로 평가 받습니다. 소설은 남북전쟁과 남부의 농장지역을 배경으로 노예제도를 긍정적으로 묘사하거나, 흑인 등장인물을 고정된 인종적 편견 속에서 그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흑인 노예들이 충성스럽고 순종적인 인물로 묘사되는 점과 남부 농장주의 삶이 낭만적으로 그려지는 것이 비판의 대상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현대에는 인종차별적 시각을 담고 있다는 지적을 받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오즈의 마법사에서 도로시와 동행한 사자, 양철나무꾼, 허수아비가 상징하는 바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사자는 용기를 상징하며, 겉모습은 용맹스러우나 실제로는 겁이 많은 모습을 보입니다. 양철나무꾼은 사랑의 감정을 상징합니다. 심장이 없어 감정을 느끼지 못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매우 감성적인 마음을 가졌습니다. 허수아비는 지혜를 상징하며 자신이 지능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모험을 통해 지혜롭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이들은 모두 자신이 부족하다고 여기는 것을 찾아 나서지만 이미 내면에 그 자질을 지니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처용가에 등장하는 처용은 어떤 사람이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처용은 설화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인물로, 동해 용왕의 아들이라고 전해집니다. 처용은 신라의 헌강왕 시기에 역병을 물리치기 위해 등장하는 존재로 처용가에 나타납니다. 처용가는 역병이 창궐하던 시절, 헌강왕이 궁궐 안으로 병이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처용을 불러들였다는 설화에 기반한 노래입니다. 이야기에 따르면, 어느날 처용이 집으로 돌아와 보니 아내가 역신과 함께 있는 것을 보고 화를 내지 않고 노래와 춤으로 마음을 풀었고 이에 감동한 여신이 처용 앞에서 물러났다고 합니다. 이후 처용의 모습이나 처용가를 부르면 악귀나 병마가 물러간다는 믿음이 생겼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윤동주의 시 ‘또 다른 고향’에서 시적 화자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윤동주는 ‘또 다른 고향’에서 고향을 현실적이고 물리적인 공간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즉 시적화자의 고향은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공간이고 돌아와서 누울 수 있는 공간이지만 자신이 원래 알고 있던 공간은 아닌 것입니다. 일제강점기 현실에 적용하면 식민지 현실의 조선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만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나라의 주권이 없고 백성들이 일제의 압제에 고통 당하고 있는 공간입니다. 이 조선의 모습을 고향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입니다.그래서 시의 제목과 마지막 부분에서 ’또 다른 고향‘으로 가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곳이 바로 시적화자가 기억하는 진정한 고향이고 주권이 살아있고 백성들이 평화롭게 살아갈 수 있는 독립된 조선을 상징합니다.
86878889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