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박에녹 전문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 국어교육전공 석사
문학
문학 이미지
Q.  글을 잘 쓰기 위해서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어떤 소재로 글을 쓸 것인가를 준비하는 작업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글을 잘 못쓴다는 생각에 시도조차 하지 않기 보다는 짧은 몇 개의 문장에서부터 시작해서 스스로의 감정, 생각을 자연스럽게 표현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시도 후에 좀 더 정교한 개요를 작성하고, 표현을 가다듬는 등의 세부적인 활동을 하면서 글을 쓰는 연습을 한다면 훨씬 더 나은 글을 쓸 수 있을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할렐루야와 알렐루야의 차이가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할렐루야와 알렐루야는 같은 뜻을 가진 표현으로, 차이는 주로 언어와 발음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할렐루야는 히브리어에서 온 말로 '하나님을 찬양하라'는 뜻입니다. 히브리어에서 할렐은 '찬양하라'는 의미이고 '야'는 하나님의 이름인 야훼를 가리킵니다. 알렐루야는 라틴어에서 온 표현으로 라틴어에서는 'H' 발음이 생략되면서 '알렐루야'로 변형되었고 주로 카톨릭 성가나 기독교 전례에서 사용됩니다. 즉 두 표현 모두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사용되는 종교적 전통이나 언어에 따라 약간의 발음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문자부호 '?'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물음표의 유래는 먼저 인간이 쭈그리고 앉아서 무엇인가를 생각하는 모습을 본 뜬 것이라는 의견이 있습니다.다음은 물음표의 어원인 고대 라틴어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라틴어에서 질문을 나타내는 단어인 "quaestio"(질문)가 기원입니다. 중세 시대 필경사들은 문장을 간략하게 표현하기 위해 "quaestio"를 "qo"로 줄여 썼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q"는 위쪽으로 구부러졌고, "o"는 아래에 남아 현재의 물음표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이러한 형태가 문장의 끝에 질문이 있다는 것을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했고, 오늘날의 물음표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라푼젤의 경우 실제 역사를 기반으로한 소설인가요? 아니면 그냥 전설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라푼젤 이야기는 독일의 그림 형제가 1812년에 출간한 동화집에 실린 이야기 중 하나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이야기는 아닙니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오랜 세월 구전되어 온 전설과 민담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라푼젤 이야기는 구전되어 온 여러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는데, 특히 17세기 이탈리아 작가 지암바티스타 바실레의 동화 '페트로시넬라'가 라푼젤 이야기의 원형으로 꼽힙니다. 이후 샤를 페로와 같은 작가도 이와 비슷한 이야기를 다루었으며, 그림 형제가 이를 다시 모아 자신들의 버전으로 출간한 것입니다. 따라서 라푼젤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에 근겅한 것은 아니지만, 여러 민담과 신화적 요소에서 영향을 받아 창작된 이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문학의 세부 분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문학의 갈래는 먼저 이야기를 통해 사건과 인물을 묘사하고 주제를 전달하는 서사문학이 있습니다. 이 서사문학의 대표적 하위 갈래가 소설입니다. 서사시, 신화 등도 여기에 속합니다. 그리고 대화와 행동을 통해 주제를 전달하는 극 갈래가 잇습니다. 희곡, 시나리오 등이 하위갈래입니다. 감정, 생각, 정서를 표현하는 서정문학에는 시 갈래가 여기에 속하면 개인적 감정을 담아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마지막으로 교술 갈래는 지식, 정보, 교훈 그리고 개인의 일상 경험을 전달하는 갈래로 수필,논설문, 에세이 등이 하위갈래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흥부와 놀부는 성이 다른데 왜 형제인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흥부의 성씨는 흥부전에는 제비 '연(燕)'씨로 흥보가에는 '박(朴)'씨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놀부의 성씨는 흥부전에는 흥부와 동일하게 제비 '연(燕)'씨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흥보가에는 흥부의 성이 '박(朴)'씨이므로 놀부의 성씨도 같게 보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성씨도 소설 또는 판소리 속의 주요 소재인 제비를 뜻하거나 재물을 주거나 재앙을 주는 박과 동음이어서 이야기의 내용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1833년에 작성된 흥보만보록 필사본에는 덕수 장(張)씨로 설정되어 있어 흥부와 놀부의 성씨에 대한 논란이 있기도 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국어관련 질문입니다. 표현방법을 잘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보기 ㄱ에서 '병이란 놈에게'라는 부분에서 병은 사람이 아닌데도 물건을 줄 수 있는 사람(놈) 처럼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의인법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문제 선택지 1번은 강물이 사람이 아닌데 '말없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어서 강물의 흐름을 사람의 행동과 연관해서 보여주고 있어 의인법이 맞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음식이 식다의 반대표현은 뭐가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음식이 '식다'의 반대표현은 음식이 뜨겁다. 또는 음식이 데워지다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음식이 따뜻해지다, 음식이 갓 조리되다 와 같은 표현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단테의 신곡은 무슨내용인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단테의 신곡은 하나님의 섭리와 구원 그리고 그를 대하는 인간의 자유의지 문제를 중심으로 서구의 기독교 문명을 집대성한 문학작품입니다. 다루는 범위는 예술과 문학, 역사, 전설, 종교, 철학, 정치학, 천문학, 자연과학 등 인간의 삶과 지식에 관계되는 모든 분야에 걸쳐 있습니다. 지옥편, 연옥편, 천국편으로 나뉘는데 지옥편이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지옥에서의 형벌은 대부분 자신이 저질렀던 죄를 다시 되돌려받는 형식입니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차용한 인물 또는 사건 등도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서양문화 자체가 기독교 문화와 그리스문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지옥편에 비해 연옥편과 천국편은 내용이 난해해서 상대적으로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천국편은 특히 수비학적, 신비주의적 묘사, 신학적 관점들이 복잡하게 들어가 있더 더욱 해석하기가 어렵습니다. 연옥편과 천국편의 해석이 어려운 것이 단테의 신곡이 어렵다고 판단하게 되는 큰 이유로 보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콜론)과 ;(세미콘론)의 용도?차이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한글맞춤법에서 쌍점(:)의 사용 용레는 다음과 같습니다.(1) 내포되는 종류를 들 적에 쓴다.문장 부호: 마침표, 쉼표, 따옴표, 묶음표 등.문방사우: 붓, 먹, 벼루, 종이.(2) 소표제 뒤에 간단한 설명이 붙을 때에 쓴다.일시: 1984 년 10 월 15 일 10 시.마침표: 문장이 끝남을 나타낸다.(3) 저자명 다음에 저서명을 적을 때에 쓴다.정약용: 목민심서, 경세유표.주시경: 국어 문법, 서울 박문 서관, 1910.(4) 시(時)와 분(分), 장(章)과 절(節) 따위를 구별할 때나, 둘 이상을 대비할 때에 쓴다.오전 10:20 (오전 10 시 20 분)요한 3:16 (요한복음 3 장 16 절)(2)대비 65:60 (65 대 60)그리고 쌍반점(;)은 주로 영어표현에서 많이 나오는 부호로 사용하는 것이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사용범위가 넓지 않다고 봅니다.
86878889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