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박에녹 전문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 국어교육전공 석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2월 14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순 우리말중 오달지다는 무슨뜻이고 언제 사용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오달지다는 순우리말로 '기운이나 힘이 실속 있고 야무지다'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 알차고 빈틈없으며 내실이 충실한 것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사람이나 사물, 결과물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 때 쓰이며, 예를 들어 '일을 참 오달지게 한다'는 말은 일을 실속있고 야무지게 잘한다는 뜻입니다. 또한 '이 음식은 맛이 참 오달지다'는 음식이 적은 양에도 불구하고 맛이 알차고 훌륭하다는 의미입니다.
2024년 12월 14일 작성 됨
Q.
글쓰기 형식을 파괴 하면서 글을 쓰는 작가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글쓰기 형식을 파괴하면서 작품을 쓰는 작가들은 전통적인 서사와 문체를 깨트리고 독자에게 새로운 독서경험을 제공합니다. 제임스 조이스는 율리시스와 같은 작품에서 의식의 흐름기법을 활용하며 전통적 소설구조를 벗어났고 사뮈엘 베케트는 미니멀리즘적이고 탈구조적인 형식으로 부조리한 인간 존재를 탐구했습니다. 월리엄 버로스는 컷업 기법으로 기존 텍스트를 재조합해 새로운 의미를 창출했으며 마르그리트 뒤라스는 시간성을 무너뜨린 파편적 서술로 독특한 작품세계를 구축했습니다. 우리나라 작가로는 이인성과 박태순이 몽환적이고 실험적인 글쓰기 방식을 통해 문학적 형식을 확장시킨 사례로 꼽힙니다. 이들은 글쓰기 형식의 경계를 허물며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 대표적인 작가들입니다.
2024년 12월 7일 작성 됨
Q.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 4대 비극, 5대 희극 작품이 유명한데요. 국내 출판사 마다 번역이 좀 달라지는데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번역본은 어떤 사람이 옮기느냐에 따라서 조금씩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단어 또는 문장의 해석에 있어서도 여러 해석이 있을 수 있어 번역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4년 12월 7일 작성 됨
Q.
문학 작품에서 서술 방식의 변화가 스토리에 미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문학 작품에서 서술방식의 변화는 스토리와 독자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서술방식이 바뀌면 독자가 이야기를 받아들이는 관점이 달라지고 긴장감이나 몰입감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보 전달의 범위와 깊이를 조절하여 스토리를 더 넓거나 제한적으로 보여 줄 수 있고 독자의 감정적 연결과 공감을 강화하거나 줄이는 효과를 냅니다. 시간적 구조에도 영향을 미쳐 사건의 재해석이나 주제의 강조를 돕는 한편, 독자가 이야기를 다각도로 해석하게 만들어 작품의 복합성과 깊이를 더합니다. 이처럼 서술방식의 변화는 이야기의 전개와 메시지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024년 12월 7일 작성 됨
Q.
디스토피아 문학이 현대 독자에게 주는 교훈과 관련하여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디스토피아 문학은 현대 독자에게 여러가지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먼저 사회와 권력 구조에 대한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전체주의나 권력 남묭의 위험성을 경고합니다. 또한 기술 발전과 인간성 사이의 관계를 조명하며 기술이 인간을 소외시키지 않도록 윤리적이고 책임감 있게 사용해야 함을 일깨웁니다. 환경 문제 역시 중요한 주제로 다뤄지는데 디스토피아적 세게는 환경 파괴와 자원 고갈의 결과를 극단적으로 보여 주며 지속 가능한 발전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91
92
93
94
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