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최근에 읽거나 본 책, 영화, 혹은 TV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감명 깊었던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최근 영화는 아니지만 '서울의 봄'을 본 기억이 지금도 많이 머릿속에 남아 있습니다. 1979년 10월 26을 박정희 대통령 암살 이후 급변하던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군사쿠데타 12.12 사건을 배경으로 한 영화입니다. 전두광 역의 황정민과 이태신 역의 정우성의 연기가 매우 빛났던 영화였습니다. 현대사의 불행한 한 장면을 묘사한 이 작품으로 인해 정의는 무엇이고 과연 세상에서 정의가 적용되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했던 영화였습니다. 그래도 옳은 길이 있고 그것이 이루어진다는 희망을 가지고 살기는 하지만, 세상에서 매번 정의가 이기는 것은 당연히 아니기에 영화를 본 뒤에 더욱 가슴이 답답해 지기도 했습니다.
Q. 안녕하세요 시티헌터입니다 행복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하면 기준을 두고 말을 하는 사람이 있는데 행복을 왜 주관적으로 기준을 두고 말을 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행복은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객관적인 기준이 있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하루를 굶지 않고 보내는 것에서 행복을 느끼지만, 다른 사람은 대저택에서 살고, 여러 대의 차를 가졌으며, 많은 사람들의 존경이나 사랑을 받아도 행복하다고 느끼지 못하기도 합니다. 사람들에게 행복은 상대적으로 적용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발달한 세계의 상황에서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나 희망사항이 대부분 채워질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삶과 비교하며 자신의 행복을 규정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을 가장 빠르게 불행하게 만드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사람들의 삶이 나의 행복에 대한 기준이 된다면 온전한 행복을 누리는 시간이 거의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Q. 안녕하세요 시티헌터입니다 문학적 철학적으로 사랑이란 무엇을 나타나요 인간의 사랑은 왜 하는 것이며 어떻게 인간의 삶에서 필요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문학에서 사랑은 다양한 형태와 복잡한 감정으로 묘사되며, 작품의 주제나 갈등의 핵심요소로 자주 등장합니다. 사랑은 낭만적 사랑, 가족애, 우정, 또는 자기애 등 여러 모습으로 표현되며, 각 작품에서 등장인물의 성장으로 이끄는 중요한 원동력이 됩니다. 예를 들어 로미오와 줄리엣에서의 비극적이고 열정적인 사랑은 개인의 선택과 사회적 규범 간의 갈등을 드러내고 오만과 편견와 에서는 복잡한 남녀간의 감정과 생각 그리고 서로에 대한 그리움, 안타까움 등이 사랑의 부수적인 모습들로 표현됩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극복한 성숙한 사랑의 필요성이 강조됩니다. 문학 속 사랑은 단순한 감정 표현을 넘어서, 인간의 본성, 관계, 그리고 삶의 복잡성을 탐구하는 주요 주제로 다루어집니다.
Q. 안녕하세요 시티헌터입니다 문학에서 말하는 또는 철학적으로 도덕적 상대주의는 어떻게 나타내고 이것은 또 타당한 것인지 그것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도덕적 상대주의는 옳고 그름에 대한 도덕적 판단이 절대적 기준이 아니라 각 문화나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철학적 입장입니다. 즉 어떤 행위가 도덕적으로 옳거나 그르다는 것은 보편적인 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행위가 속한 문화적,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보는 관점입니다. 예를 들어,한 문화에서 도덕적으로 용납되지 않는 행동이 다른 문화에서는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그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문학 작품에서는 등장인물들이 각기 다른 사회적 배경, 전통, 신념을 가지고 있을 때, 그들의 선택과 행동이 옳고 그르다는 단순한 판단을 넘어서 다양한 도덕적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독자는 한 가지 도덕적 기준이 아니라 여러 가능성을 고려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