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lh임대아파트 년소득 1인 2인 3인 가구 년봉 인지 년봉 에서 세금 빼고 금액인지 ?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LH 임대아파트의 소득 기준은 세전 소득(총급여)를 기준으로 합니다. 즉 세금을 공제하기 전의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입주 자격을 판단하고 있습니다. 2인 가구의 경우 전용면적 50m2 미만의 국민임대주택에 입주하려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80% 이하를 충족해야 하며 2025년 기준으로 2인 가구의 중위소득은 월 ,392,658d원 이며, 이 금액의 80% 적용하시면 됩니다. 맞벌이의 경우 두 사람의 소득을 합산하면 월 4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 소득 기준을 초과하여 LH 임대아파트 입주 자격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소득 기준은 저소득층 주거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이므로 일정 소득 이하의 가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소득이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일반 분양이나 다른 형태의 주거 지원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Q. 서울 부동산 가격이 한국 전체의 몇 %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서울의 부동산 가격은 한국 저체 부동산 시장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합니다. 그러나 정확한 비율은 다양한 요인과 통계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상세한 데이터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24.8월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위 20%의 평균 가격은 약 25억 7,000만원 이고, 하위 20%는 약 4억 8,000여 만원으로 상하위 20% 간의 가격 배율이 5배 이상 차이가 나는 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서울 내에서도 부동산 가격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Q. 우리나라 부동산의 양극화가 점점 심해지는 것 같습니다. 일본의 부동산 경제를 우리나라가 따라간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일본의 부동산 시장도 양극화가 심했으며, 지금도 그 경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한국이 일본의 부동산 흐름을 따라갈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자주 나오는데, 일본의 사례들을 보면 비슷한 부분도 있지만 차이점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한국와 일본은 동일하게 대도시와 지방의 부동산 양극화가 심하다는 점, 거래절벽과 빈집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 대도시 중심의 개발과 외국인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한 양상을 보이지만 차이점도 있습니다.한국은 수도권 집중도가 훨씬 높기 때문에 일본보다는 부동산 시장이 급격히 붕괴할 가능성은 낮고, 일본은 경제 장기침체로 인해 부동산 시장이 장기간 약세였지만, 한국은 아직 경제 성장률이 일본보다는 높은 편입니다.다만 한국은 일본보다 인구 감소 속도가 느리지만, 앞으로 10~20년 내 본격적인 인구감소가 시작되면 일본과 비슷한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습니다.한국이 일본과 완전히 똑같은 길을 가는 것은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저출산, 고령화, 인구감소, 경제 성장 둔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일본과 유사한 패턴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고 봅니다. 결국 핵심 지역과 비핵심 지역의 격차가 더 커질 것으로 보이며, 부동산 투자 시 입지와 수요 변화를 보다 더 신중하게 판단해야 할 시대가 올 가능성이 높습니다.정부나 전문가분들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서 모두 인식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대응책들이 조속히 나와서 균형 있는 발전이 이루어 지기를 바래 봅니다.
Q. 우리나라에서 평당 아파트 가격이 가장 비싼 곳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강남구와 서초구의 아파트 평당 가격이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서초구 - 평당 약 9,200만원강남구 - 평당 약 9,100만원용산구 - 평당 약 7,400만원송파구 - 평당 약 6,700만원성동구 - 평당 약 6,000만원이러한 데이터는 시기와 출처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려면 공신력 있는 부동산 정보 사이트나 기관의 자료를 참고하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