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고민을 해결해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을 해결해드리겠습니다.
류용준 전문가
주식회사 제이제이코퍼레이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경제
자격증
부동산
2023년 7월 9일 작성 됨
Q.
계약청구권을 통해 전세계약 연장을 한후 1년이 지난 후 집을 나가려고 하는데 집주인이 집이 빠지면 보증금을 빼준다고 하는데 어떻게 하죠?
계약종료일이 적혀있지 않아 정확한 답변이 어렵습니다.22년도에 2년짜리 계약을 했으면 24년에 종료되는 것일까요?그렇다는 가정하에, 계약 종료일인 24년도가 되기 전에는 보증금 반환을 요구할 수 없습니다.묵시적 갱신이었다면 3개월 뒤 돌려받을 수 있지만, 그게 아니라면 요구가 불가능합니다.
부동산
2023년 7월 9일 작성 됨
Q.
원룸 임차계약을 1년으로 하고 중도에 해지시 중개수수료는 누가 부담해야 하나요?
임대차계약 기간에 관계없이, 중도 해지를 할 경우는 해지를 요구한 쪽이 모든 책임을 집니다.애시당초 상대방은 계약 해지에 동의를 해줄 이유 자체가 없습니다.따라서 계약 해지때문에 발생하는 제반 비용은 계약 해지를 주장하는 측이 부담해야 옳습니다.
부동산
2023년 7월 9일 작성 됨
Q.
오피스텔 월세 가계약금 반환받을수 있을까요?
가계약일지라도 물품, 금액, 잔금 지급 등의 내용이 언급됐다면 정식 계약으로 인정받습니다.대법원 선고 2005다39594 판결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가계약서 작성 당시 매매목적물과 매매대금 등이 특정되고 중도금 지급방법에 관한 합의가 있었다면그 가계약서에 잔금 지급시기가 기재되지 않았고 후에 정식 계약서가 작성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매매계약은 성립한다”
부동산
2023년 7월 8일 작성 됨
Q.
집주인들은 전세를 주는 이유가 뭔가요?
전세금은 보통 저축 용도로 사용하지 않습니다.알고 계시다시피 금리가 낮은데 은행에 넣을 이유가 없죠.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받아 주택 구입자금에 보태서집을 사기 위해서 전세를 주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왜냐하면 집값의 일정부분 이상은 대출이 안 나오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2023년 7월 3일 작성 됨
Q.
전세 만기 전 합가로 세대원이 전입신고 후, 계약자 다른집 전입신고 시 대항력 문의
비슷한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1]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민등록이라는 대항요건은 임차인 본인뿐만 아니라 그 배우자나 자녀 등 가족의 주민등록을 포함한다.[2] 가족의 주민등록을 그대로 둔 채 임차인만 주민등록을 일시 다른 곳으로 옮긴 경우라면, 전체적으로 주민등록의 이탈이라고 볼 수 없는 만큼, 제3자에 대한 대항력을 상실하지 않는다.
111
112
113
114
1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