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머리카락 뜯겨서 두피가 매우아픈데 어느병원에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머리카락이 강하게 뜯겨서 두피 통증과 탈모가 생겼다면, 두피 외상, 염증 또는 견인성 탈모(traction alopecia)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피부과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피부과는 두피와 모발 문제를 다루는 전문과이며, 두피의 손상 정도, 염증 여부, 모낭 손상 유무 등을 확인하고 필요한 치료(항염증제, 재생치료 등)를 받을 수 있습니다.만약 두피에 상처, 출혈, 진물, 부기 등이 동반된다면, 외과적 처치가 필요한 경우도 있으니 피부과를 먼저 방문하고 필요 시 외과나 모발 전문 클리닉으로 연계받는 것이 좋을 듯 해요일반적으로 "두피 병원"이라는 명칭은 사용되지 않으며, 대부분 "피부과" 또는 "탈모·두피 클리닉" 내에 포함되어 있으니, 가까운 피부과에 예약하시고 상황을 설명해 진료받으시면 됩니다.
Q. 손등에 푸른 멍울이 생겼어요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손등에 갑작스럽게 생긴 푸른색 멍울은 혈관과 관련된 병변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눌러도 통증이 없고, 만졌을 때 속에 동그란 것이 느껴진다면 정맥류성 혹(정맥류, 혈관류)이나 혈관종(양성 혈관 종양)일 수 있으며, 드물게는 외상 없이 생긴 혈종(피하출혈)일 수도 있습니다. 피부 바로 아래의 정맥이 확장되어 형성된 것이라면 일시적일 수도 있지만, 혈액 순환 이상이나 자가면역 질환과 연관이 있을 수도 있어요. 특히 피부색 변화와 함께 나타났다면 더 주의가 필요하구요3주 전부터 발가락에 회색 또는 보라색 변색이 있었다면, 이는 말초 혈류 장애의 신호일 수 있으며, 과거 진단받은 루푸스 의증이나 류마티스 계열 질환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손등과 발가락이 동시에 영향을 받는다면 혈관염(vasculitis), 레이노 현상, 자가면역성 혈전 문제 등과 연관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조기 혈액검사나 피부·혈관 정밀 진료가 필요합니다. 지금처럼 색 변화와 멍울이 동반된다면, 류마티스 내과 또는 피부과 진료를 조속히 받아보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Q. 해변에서 모래놀이하다가 귀에 들어간 흙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20개월 아기가 중이염 진단을 받았고, 최근 해변에서 모래놀이 중 귀에 모래가 들어갔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신 듯 합니다. 실제로 귀에 소량의 모래가 들어갔다 하더라도, 외이도(귓구멍 바깥 부분)에만 있었다면 대부분은 자연스럽게 배출되거나, 가볍게 닦아낸 것만으로 충분합니다. 하지만 모래가 외이도를 지나 고막 가까이 들어갔거나, 세균이 함께 침투했다면 감염의 원인이 될 수는 있어요. 다만, 중이염은 대부분 바이러스성 감기나 코막힘으로 인해 이관 기능이 저하되어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모래가 직접적인 원인일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현재 항생제 치료를 받고 있고, 증상이 호전되고 있다면 굳이 귀를 추가로 세척하거나 조작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불필요한 세척은 외이도 손상이나 2차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향후에도 아이가 귀를 계속 자주 만지거나 분비물, 통증, 발열이 재발한다면, 소아과나 가정의와 상의해 이비인후과 전문의 진료 의뢰(Referral)를 요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Q. 당뇨환자가 이 음료 매일 마셔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쉼 요구르트는 일반적으로 당 함량이 적지 않은 편이며, 당뇨 환자가 거의 매일, 식후에 마셨다면 혈당 스파이크(식후 급격한 혈당 상승)가 반복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이분처럼 기저질환(심근경색)까지 있는 경우, 꾸준한 고혈당은 혈관 손상 위험을 더욱 증가시켜 심혈관계 합병증 재발 가능성도 높아지죠 당 수치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이런 생활 습관 변화는 분명히 당 조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지금이라도 가까운 시일 내에 병원을 방문해 공복 혈당, 식후 2시간 혈당, HbA1c(당화혈색소)를 체크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당화혈색소는 지난 2~3개월간의 평균 혈당을 반영하기 때문에, 최근 두 달간의 변화가 수치로 나타날 수 있어요 식후 혈당 급등이 반복되었을 경우 약 조정이 필요할 수 있으며, 앞으로는 무가당 또는 저당 제품으로 교체하거나 식사와의 간격을 두고 섭취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Q. 족저근막염 있지만 오랜만에 만 보 이상 걸었는데요. 지금 제일 아픈게 양쪽 골반이에요 ㅠ골반은 왜 이리 아플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족저근막염이 있는 상태에서 오랜만에 1만 보 이상 걷게 되면, 발바닥의 충격 흡수 능력이 떨어져 전신의 체중 부하가 발뿐만 아니라 허벅지, 엉덩이, 골반 근육에까지 비정상적으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특히 평소 운동량이 적거나 걷는 자세가 불균형하다면, 골반을 지지하는 둔근(엉덩이 근육)과 장요근(골반 앞쪽 근육) 등에 과부하가 걸려 염증 반응이나 근육 긴장으로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걷는 동안 체중 중심을 옮기는 과정에서 골반이 지속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양쪽 골반에 대칭적인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또한, 족저근막염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통증을 회피하는 자세(예: 한쪽 발을 덜 딛거나 뒤꿈치를 덜 디디는 습관)를 취하게 되면, 보행 시 체중 분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골반, 요추, 고관절 주변의 근육들이 평소보다 더 많이 긴장하게 됩니다. 이런 보상 움직임은 골반 주변의 근막, 인대, 심부근육(코어 근육)까지 자극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이 더 확산되고 단순한 근육통을 넘어서 뻣뻣함이나 신경통처럼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단순한 근육이완제만으로는 통증이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러한 증상이 반복된다면, 단순 휴식 외에도 스트레칭(특히 둔근, 햄스트링, 장요근)과 코어 강화 운동, 족저근막염 관리(아치 지지 깔창 사용 등)를 병행해야 합니다. 너무 무리한 보행은 피하시고, 일단 지금은 얼음찜질이나 온열 요법으로 골반 주변의 근막 염증과 긴장을 완화시켜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증상이 며칠 이상 지속되면, 물리치료나 정형외과 진료를 받아 골반과 요추 정렬 상태를 점검해보는 게 좋습니다.
Q. 뒷목이 땡기는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뒷목이 땡기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근육 긴장입니다. 장시간 앉아서 스마트폰을 보거나 컴퓨터 작업을 많이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목과 어깨 근육에 부담이 가게 되고, 이로 인해 뒷목이 땡기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특히, 자세 불균형이나 오래 앉아 있는 상태에서 근육에 무리가 가면 뒷목 근육이 긴장하게 되죠또 다른 원인으로는 스트레스나 불안이 있을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긴장을 많이 하면 목 근육이 경직되면서 뒷목이 땡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에는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휴식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마지막으로, 만약 뒷목의 통증이 계속되거나 다른 증상(두통, 어지러움 등)이 동반된다면, 경추 문제나 목 디스크와 같은 신경학적인 원인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에는 자주 목을 스트레칭하거나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추가적으로, 뒷목이 땡기는 증상이 일시적이라면 대부분 큰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지속되거나 통증이 심해지면 더 정확한 진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주 발생한다면 근육 이완제나 물리치료 등을 통해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구요또한, 규칙적인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 목 근육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높여주는 것도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만약 목 통증이 다른 증상(예: 팔 저림, 어깨 통증 등)과 함께 나타난다면 신경학적인 문제를 고려해 병원을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Q. 관계시 보조제를 먹으면 효과가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조루와 발기력 문제는 나이가 들면서 흔히 겪을 수 있는 변화입니다. 약물을 통해 어느 정도 개선이 가능하지만, 개인마다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그 효과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발기부전 치료제(비아그라, 시알리스, 레비트라 등)와 조루 개선을 위한 약물(프릴로카인 성분의 약물 등)이 있죠이러한 약물들은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 제품은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는 OTC(Over-The-Counter) 제품도 있습니다.그러나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는 제품은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으며, 발기부전 치료제나 조루 치료제는 반드시 의사의 상담을 받고 처방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약물에 대한 의존도가 걱정된다면, 약물 이외에도 심리적 요인이나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Q. 이거 대상포진인가요? 아님 파스 알래르기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긁으신 뒤의 상처 병변이라 정확하게 파악하기 더더욱 어려워요. 수포인지도 확인이 안되네요어머니의 허벅지 부위에 나타난 증상은 대상포진일 가능성도 있지만, 파스 알레르기나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다른 피부 반응일 수도 있습니다.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통증이 먼저 발생하고 그 후에 발진과 수포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로 한쪽 몸의 일정 부위(예: 허벅지, 가슴, 등 등)에 띠 모양으로 나타나요반면에 파스를 사용하고 가려운 증상이 발생했다면 알레르기 반응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파스에 포함된 성분(예: 멘톨, 캄파르, 벤조카인 등)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부가 가렵거나 발진이 생길 수 있습니다. 위에 진물이 생겼다면, 이는 감염이나 염증이 생겼을 가능성도 있으니 피부과를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상포진이라면 조기에 항바이러스 치료를 받아야 효과적이므로, 빠른 진료가 필요합니다
Q. 왼쪽 엄지발가락 시작하는 마디가 간헐적으로 쑤시고 아픕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왼쪽 엄지발가락 시작 마디에서 간헐적으로 쑤시고 아픈 증상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무지외반증(엄지발가락 변형)이나 관절염(특히, 통풍성 관절염)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의 관절이 비정상적으로 휘는 상태로, 이로 인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어요또한, 통풍성 관절염은 요산이 쌓여 발가락의 관절에 염증을 일으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구요이외에도 신경 압박이나 발의 과도한 사용(예: 오래 서거나 걷는 경우)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증상이 2~3년 동안 지속되었고, 통증이 간헐적으로 나타난다면 정형외과에서 X-ray나 다른 진단을 통해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통풍성 관절염이 의심되면 내과에서 혈액 검사로 요산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