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23.12.21

당분간은 사우디 시장이 중국 시장보다 경제적으로 더 이점이 크다볼 수도 있나요?

사우디가 현재 네옴시티 건설에 천문학적은 자금을 투자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공사가 시작되면 그 기간은 단기가 아닌 장기간이 걸릴 것 같은데


사우디의 네옴시티 건설 규모가

현재 미국과 중국의 대립에 조금씩 무너져가는 중국 시장 경제를 대체할 정도의 급인가요?


사우디는 인구보다

자본력이 상상을 초월하는 국가이니

우리나라의 파이가 줄어들어가고 있는 중국 시장경제에 대비해 사우디가 네옴시티가 완공될 때까지 한동안의 대체재의 역할이 가능한 경제규모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사우디아라비아는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자 여러 방면에 투자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프로젝트가 네옴시티 프로젝트로, 이는 사우디가 지난 2017년 발표한 국가 장기 프로젝트의 핵심 사업입니다. 여기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투자비만 5000억 달러, 한화 약 650조원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우디와 같은 경우에는 해당 네옴시티에

    엄청난 자금이 들어가는 사실이나 장기적으로

    중국을 대체할만한 내수시장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우디의 네옴시티는 약 100조원에 달하는 자금이 투입되는 프로젝트이니만큼 당분간 중국의 경기침체를 고려한다면 네옴시티의 수주가 중국시장보다는 더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으나, 네옴시티는 결국 단발성 프로젝트이니만큼 장기적인 관점으로는 중국 경제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에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비전 2030′으로 대표되는 대규모 국가 발전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한·중·일 동북아 3국은 물론 인도까지 사우디 ‘황금 시장’을 두고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현재 사우디가 추진 중인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 15건의 규모만 8790억달러(1188조원)에 육박하는데, 올해 2분기 기준 진척률은 6.5%(수주 기준)에 불과해 남은 기회가 무궁무진하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