갭투자 매물 전세만기 시 연장 안하고 빠르게 빠져나오는 게 나은가요?
지금 집이 좋기는 한데 갭투자매물이에요. 어쨌든 위험성이나 그런거 충분히 검증했고
보증보험도 들어놨고 특약도 꼼꼼하게 걸어놨지만
어쨌든 갭투자매물은 만기되면 빠르게 빠져나오는게 낫겠죠?
신축에다 법인매물인데, 전세계약 후 법인에서 갭투자자로 소유권이 이전된 매물이거든요
계약과정에서 신경쓸것도 많고 복잡해서 너무 힘들어서, 다음 이사할 집 찾을때는 근저당이나 신탁있는 신축빌라는 쳐다도 안볼것같아요 ㅠㅠ
갭투자로 개인이 온전하게 소유자로 권리관계가 바뀌면 더 나을수도 있습니다
집값이 어떤지 전세금이 그리 높지 않다면 괜찮고 또 구조가 좋아서 집이 잘나갈수 있는 집이라면 괜찮습니다
주로 새빌라를 집주인이 여러채를 가지고 있으면서 전세가가 높아서 잘 빠지지 않은 집들이 전세사기까지 간집들이 많았습니다
지금은 그집이 공시지가가 얼마나 내렸는지 보셔야 합니다
공시지가에 126%을 곱해서 나온금액이 전세가이면 전세보증보험에 가입이 됩니다
그런부분을 보시고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네 맞습니다. 아무래도 임대목적물이 대출에 건전한 상태일 경우 임차인이 안전하게 거주할 수 있는데
여차하면 경매로 넘어갈까봐 불안한 매물은 빨리 탈출하는것이 상책입니다.
그리고 다음에 계약을 하실때도 부채 내역 보시고 보증금으로 부채를 상환하는 조건으로 계약을 하시기를 추천합니다.
보증보험 연장 가능하면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그런 작은 송사조차 신경쓰기 싫다면 나올 수 있을때 나오는것도 괜찮다고 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지금 집이 좋기는 한데 갭투자매물이에요. 어쨌든 위험성이나 그런거 충분히 검증했고
보증보험도 들어놨고 특약도 꼼꼼하게 걸어놨지만
어쨌든 갭투자매물은 만기되면 빠르게 빠져나오는게 낫겠죠?
신축에다 법인매물인데, 전세계약 후 법인에서 갭투자자로 소유권이 이전된 매물이거든요
계약과정에서 신경쓸것도 많고 복잡해서 너무 힘들어서, 다음 이사할 집 찾을때는 근저당이나 신탁있는 신축빌라는 쳐다도 안볼것같아요 ㅠㅠ
== > 가급적 그렇게 진행하시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그렇지 않는 경우 보증보험 가입이 불가하거나 경매처분을 당하는 경우 전혀 보호를 받지 못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합니다.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본인이 확인하시기에, 매매가와 전세가 차이가 얼마 없는 주택이라면
연장하지 마시고 전세가율 낮은 주택으로 옮기시는게 좋습니다.
생활 편의성 및 내부 컨디션을 중점으로 보신다면, 전세가율 70%이내 해당하는 보증금을 설정하고
차액 보증금은 월세로 전환하는 반전세로 고려하는게 현명합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세부적인 내용을 알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권리관계가 복잡하고 법인이 개입된 매물은 가급적 선택안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에 하나 문제가 발생했을 때 본인이 제어가 가능한가를 생각해 보시고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위와같은 상황인경우 새로운임차인을 구하지못하면 바로 나올수없을 가능성이 매우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