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아파트 중에 공공임대와 민간임대의 차이가 뭘까요??
임대아파트 중에 공공임대와 민간임대의 차이가 뭘까요??
아직도 임대라고 하면 사람들 이미지가 가난하다는 인식이 있는 것 같은데...
공공임대와 민간임대의 차이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임대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임대주택입니다. 대표적으로 LH(한국토지주택공사)나 SH(서울주택도시공사) 같은 공공기관이 건설하고 관리합니다.
민간임대는 개인 또는 민간 건설업체가 소유하고 운영하는 임대주택입니다. 민간임대는 개인 투자자들이 임대 수익을 위해 공급하거나, 민간 건설사가 개발한 아파트를 임대하는 방식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임대와 민간임대의 차이는 임대사업자 주체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LH등이 건설하여 공급하는경우 공공임대에 해당되고, 일반 건설사들이 공급하는 임대주택은 민간임대주택으로 볼수 있습니다. 실제 임대주택 특징상 주변시세보다는 저렴한 임대차가 가능하고, 공공임대가 민간임대에 비해 더 저렴한 편입니다, 물론 공공임대의 경우 민간임대보다 자격요건이 더 까다롭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임대와 민간임대는 여러 차이가 있습니다.
공공임대는 정부나 지자체가 소유하고 운영하며, 민간임대는 개인이나 기업이 소유합니다.
임대료 또한 공공임대가 민간임대보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낮으며, 민간임대는 특정한 자격 제한 없이 누구나 계약할 수 있으나, 공공임대는 저소득층, 사회적 약자 등을 대상으로 하여, 입주 자격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아파트의 유형은 크게 공공임대와 민간임대로 구분되는데, 공공임대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 SH(서울도시공사), GH(경기도시공사), IH(인천도시공사) 가 있습니다. 국민임대주택은 국민임대, 영구임대, 공공임대, 행복주택, 매입임대 등이 포함 됩니다.
국민임대아파트의 경우는 국가차원에서 실시하는 정책으로 경제 취약 계층의 안정적인 주거 환경 마련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자산과 소득 등 요건 충족할때 무주택 세대 구성원으로 신청이 가능하고 저렴한 보증금과 월세로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민간임대아파트는 임대사업자로 등록한 민간 건설사가 세금혜택을 받기위해 저소득층을 위한 소형 아파트를 지어 임차인을 구하고 장기간 임대를 주는 아파트로서 임대 의무기간은 현재 10년입니다. 10년간 거주 가능하며 10년뒤 내집으로 분양 전환도 가능한 장기민간임대아파트로서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청약이 가능합니다. 주택소유여부, 청약점수, 거주기간 등 자격요건이나 각종 세금 부담도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임대는 lh나sh에서 임대하는 아파트이고 민간임대아파트는 일정기간동안 임대주택으로 운영되는 아파트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주변 아파트보다 저렴하고 5년에서 10년간 임대로 살수있고 그이후에 분양전환이 되는 아파트도 있습니다
그때 상황에 따라 분양을 받을수도 있는 장점이 있기도 합니다
그런부분을 잘알아보고 임대아파트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요즘은 별도로 임대아파트동이 있는게 아니라 아파트 라인속에 섞어놓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별 분양으로 몇세대씩 아파트마다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