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용감한나방218
용감한나방21824.03.11

사람은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 하는데 공기를 흡입하면 질소등등도 같이 흡입되는건가요?

사람은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 하는데 공기를 흡입하면 질소..등도 같이 흡입되는건가요? 공기성분은 사람몸에서 어떻게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호흡을 할 때 공기를 흡입하면 주로 산소뿐만 아니라 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수증기 등 다양한 기체들도 함께 흡입됩니다. 대기는 다양한 기체들의 혼합물이기 때문에 호흡을 통해 다양한 기체들을 흡입하게 됩니다. 그러나 인체에서 주요하게 이용되는 기체는 산소이며, 이산화탄소는 호흡을 통해 배출됩니다. 호흡기계를 통해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함으로써 신체는 산소를 활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고 대사산물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사람이 공기를 흡입하면 산소뿐만 아니라 질소와 다른 기체들도 함께 흡입됩니다. 대기는 약 78%의 질소, 21%의 산소, 그리고 작은 양의 이산화탄소와 다른 기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간이 숨을 쉴 때, 주로 산소를 흡입하지만 동시에 질소와 다른 기체도 함께 흡입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사람이 공기를 흡입하면 산소와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질소 아르곤 메탄 등 다양한 기체들도 함께 흡입됩니다. 이는 공기가 여러 가지 기체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공기는 대부분이 질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산소와 이산화탄소도 중요한 성분입니다. 사람이 호흡을 하면서 공기를 흡입하면 산소가 폐로 들어가서 혈액에 흡수되고 이산화탄소는 혈액을 통해 폐로 배출됩니다. 이렇게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교환되는 과정을 호흡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공기에는 먼지나 바이러스와 같은 미세한 입자들도 함께 포함되어 있습니다.

    공기성분은 사람의 몸에서 다양한 역할을 합니다. 산소는 세포의 신진대사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산화탄소는 혈액의 pH를 조절하는 등 몸의 내부 환경을 유지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렇듯 공기는 우리 몸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깨끗하고 건강한 공기를 마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

    호흡할 때 숨을 들이쉬면 폐에는 말씀하신 것처럼 공기에 포함된 질소 등도 함께 흡입됩니다.

    들숨과 날숨에서 산소의 비율이 다른데요.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에 산소가 결합하기 때문입니다.

    폐에는 많은 혈관이 위치하는데 혈관을 따라 혈액에 포함된 적혈구가 순환하면서 기체교환을 합니다.

    폐에서 산소와 헤모글로빈이 결합하고,

    몸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는 내보내게 됩니다.

    그래서 들숨과 날숨에서 산솨와 이산화탄소의 양이 달라지게 됩니다.

    질소의 경우도 혈액에 녹아들어가지만

    적혈구의 도움 없이 압력에따라 녹아들어갑니다.

    압력이 일정하면 이미 혈액에 녹아있던 질소가 빠져가나는 양과 다시 녹아들어오는 양이 같아서

    들숨과 날숨에서 질소의 양은 거의 차이게 없게됩니다.

    깊은 수중에 잠수하는 경우처럼

    수압이 높은 곳에서는 인체에 질소가 더 많이 녹기 때문에

    질소중독 같은 현상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은 호흡을 할 때


    질소와 기타 원소들도 흡입합니다.


    질소: 공기의 78%를 차지하는 가장 많은 성분입니다. 호흡을 통해 흡입되지만, 신체에서 활용되지 않고 다시 내쉬어집니다.



    산소: 공기의 21%를 차지하는 두 번째로 많은 성분입니다. 호흡을 통해 흡입되어 세포 호흡에 사용됩니다.



    기타 원소: 아르곤, 이산화탄소, 네온, 헬륨, 크립톤, 크세논 등이 미량으로 존재합니다.



    흡기: 코나 입을 통해 공기를 흡입합니다.



    기관지: 흡입된 공기는 기관지를 통해 기관으로 이동합니다.



    기관: 기관은 기관지를 이어 폐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폐: 폐에서 흡입된 공기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합니다.



    호기: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공기는 폐를 거쳐 코나 입을 통해 내보내집니다.







    이산화탄소: 혈액을 통해 운반되어 탄산 무수화 효소 작용을 통해 탄산과 물로 분해됩니다. 탄산은 뼈와 치아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고, 물은 체액을 유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네온, 헬륨, 크립톤, 크세논: 생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호흡 시 흡입하는 공기의 비율은 일정하지 않습니다. 운동량, 환경,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대기 오염이나 화학 물질 노출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는 지구 대기의 혼합물로, 여러 가지 기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람이 숨을 쉴 때 공기를 흡입하면 다양한 기체가 함께 들어옵니다. 이러한 공기의 주요 성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산소 (Oxygen)는 공기의 약 21%를 차지하며, 우리 몸의 신진대사에 필요한 중요한 기체입니다. 산소는 폐에서 흡수되어 혈액을 통해 각 조직과 세포로 전달됩니다. 질소 (Nitrogen)는 공기의 약 78%를 차지하며,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성분은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 몸은 질소를 흡수하여 활용합니다. 아르곤 (Argon)은 공기의 약 0.93%를 차지하며, 불활성 확산제로 작용합니다. 이산화탄소 (Carbon Dioxide)는 공기의 약 0.04%를 차지하며, 우리 몸에서 생명 활동을 수행한 후 배출됩니다.

    이외에도 미량의 다른 기체들도 공기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공기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으며, 환경 오염이나 기후 변화에 따라 변동할 수 있습니다. 공기는 우리 몸의 생명 활동에 필수적이며,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을 통해 우리 몸을 지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