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은 바이러스에 의한 것인가요?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면 감염되나요?
코로나도 바이러스라서 감염이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대상포진 일 때 항바이러스제 주사를 맞는다고 하는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대상포진은 감염되지 않는다고 들은 것 같은데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대상포진은 수두바이러스가 우리몸 신경절에 잠복되어있다가 면약기능저하시 발현이 되는것입니다.
항바이러스제 약물복용또는 연고를 사용해볼수있습니다.
대상포진은 (수두 바이러스가) 신경절 속에 잠복해 있다가
고령 / 면역저하 등 신체적 컨디션 저하시 재발하는 것을 말합니다
신경의 분포를 따라 띠 모양의 피부병변(주로 수포)가 생기며 통증을 동반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은 수두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이 맞기는 하나 감염 질환은 아니고 숨어 있던 바이러스가 신경절을 따라 재활성 되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해야 복제가 덜 되면서 금방 가라앉습니다. 대상포진은 전염되지는 않습니다.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서 발생하는 피부 질환입니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처음 감염이 될 때에 수두를 일으킵니다. 수두에 걸린 뒤 회복된 사람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체내에서 제거되는 것이 아니며 비활성화 된 상태로 피부의 신경절에서 잠들어 있는 상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그런 상황에서 만약 컨디션이 나빠지고 면역력이 저하되게 되면 바이러스가 다시 활성화 되면서 피부의 병변과 통증 등 증상을 일으키게 되며 그것이 바로 대상포진입니다. 대상포진이 발병하게 되면 초기에는 몸살과 같은 증상이 생기다가 서서히 피부의 신경절을 따라서 군집성 수포성 병변이 발생하게 됩니다. 가장 호발하는 부위는 등과 옆구리이지만 얼굴 및 머리 쪽으로도 종종 발생하며, 전신 어디에든 생길 수 있습니다. 주로 노인 인구에서 면역력 저하 되며 발생하지만 당뇨 등의 만성 기저질환자에게도 더 쉽게 발병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냥 건강한 사람에게도 발병이 가능합니다. 대상포진에 걸리면 빠른 항바이러스제 투약이 예후에 필수적이므로 의심스런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빠르게 진료를 보아야 합니다. 대상포진에 한 번 걸렸다고 하여 추후에 재발하지 않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예방을 위해서는 평상시에 컨디션 조절을 잘 하여서 면역력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예방접종을 받는 것 또한 도움이 됩니다. 또한 대상포진은 전염이 가능한 질환입니다.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은 varicella zoster virus에 의하며 항 바이러스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결절에 잠복할 수 있기에 대상포진은 이후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면 재발 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라며, 내과 또는 피부과에 내원하려 진료 보실 것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은 varicella-zoster virus(VZV)가 소아기에 수두들 일으킨 후에 신경절에 잠복해 있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재발하는 질환으로 예방접종은 70-79세에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0세 미만에서는 대상포진의 위험도가 현저히 떨어져 유병률이 낮고, 백신 예방접종으로 인한 면역력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그 효과는 감소하므로 특정 연령대가 아닌 경우에는 접종으로 인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50세 이상 기감염자의 경우에도 백신 접종은 권고됩니다. 보통 대상포진의 재발확률이 5%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이전 감염에 대한 진단이 잘못되었거나 불분명하므로 백신 접종으로 인한 부스터 효과가 충분한 이득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접종은 감염 후 1년 후에 접종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