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년도 기준 퇴사시까지 발생한 연차수량이 궁금합니다!
회사가 연차에 관해서 회계년도 산정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입사 21년6월1일 일때
퇴사를
22년 12월30일로 한경우와
23년 1월2일로 한경우
두 경우의 연차발생 수량이 궁금합니다.
하나도 사용한것은 없다는 가정하에요!
그리고.
회사 취업규칙엔 없지만 근로계약서사
이런 문구가 있는데
'퇴직금은 계속근로기간 1년에 30일분의 평균임금을 지급한다. 다만, 퇴직연금제도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그 제도에 따른다.'
이건 퇴사시 입사일 기준으로 재산정한다는 뜻으로 해석 하여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부여하는 경우, 근로계약의 종료일이 22년 12월30일이라면 1년 만근에 의한 연차휴가가 발생하지 않으며, 23년 1월2일로 한 경우에는 1년 만근에 의한 연차휴가가 발생합니다.
회계연도 기준 연차휴가 산정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1년 미만 기간 : 매 개근한 1개월 마다 1일씩 총 11일
2)입사 1년차 회계연도 말일 : 15*근속일수/365일
3)1년 만근 시 15일
4)1년을 초과한 매2년마다 1일씩 가산
질의의 근로계약서 상 문구는 연차휴가의 산정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1. 2022년 12월 30일에 퇴사하는 경우에는 회계기준(1.1) 19.8개 입사일 기준 26개 입니다.
2. 2023년 1월 2일에 퇴사하는 경우에는 회계기준(1.1) 34.8개 입사일 기준 26개 입니다.
3.해당 내용은 퇴직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연차정산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4.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1. 퇴사일이 2022.12.30.인 경우 19.8일, 2023.1.2.인 경우 34.79일입니다.
2. 아닙니다. 따라서 2023.1.2.에 퇴사한 때는 34.79일로 정산하면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나륜 노무사입니다.
퇴사일이 12.30.인 경우 입사일 기준이 더 유리하며, 1.2.인 경우는 회계연도 기준이 더 유리합니다.
문구는 퇴직급여관련 문구로 보이며, 연차유급휴가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