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에게 혼을 냈을 때, 더 반항하는 아이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가 잘못한 부분에 대해 혼을 내면 말을 전혀 듣지 않고 오히려 더 흥분해서 반항하는 저희 아이, 어떻게 해야 이런 현상을 완화시켜줄 수 있을까요?
부모님이 일관되지 않은 양육 방식을 적용하거나, 아이들의 의견을 무시하는 경우에는 아이들이 부모님의 말씀을 따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아이들을 혼낼 때 소리를 지르거나 폭력을 사용하는 경우, 아이들은 공포와 분노를 느끼게 되어 반발심이 생길 수 있습니다.아이들은 아직 감정 조절 능력이 부족하므로, 혼을 내면서 지나치게 화를 내거나 눈물을 흘리는 경우에는 아이들이 당황스러워하면서 대처 방법을 찾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들을 혼내기 전에 어떤 내용을 다룰지 미리 계획을 세우고, 적절한 시간과 장소를 선택해야 합니다. 아이들을 혼낼 때는 감정을 자제하고 이성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목소리 톤을 낮추고 천천히 말하며, 아이들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아이가 훈육을 할 때 반항을 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아이를 훈육하고 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ㅁㅁ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대부분 이렇게 하면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하게 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아이에게 훈육은 큰 소리를 내서 혼내기 보다는 짥고 굵게 단호함이 필요로 합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는 행동을 했다면 그 즉시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굵은 목소리로 단호하게 지금 한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지금 한 행동이 옳지 않은 이유를 정확하게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훈육도 아이의 연령에 맞게 하여야합니다. 무엇을 잘못해서 혼나는것지 아이가 잘 알지 못하니 잘못을 했을때 바로 하면 안되는거라고 훈육을 해야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의미가 없어요
훈육을 할 때 감정적인부분을 배제하려고 노력해보시고 절대 언성을 높히지않는것이 중요할 듯 합니다. 그리고 혼낼때 반항하는 심리의 아이들은 보통 나만 억울하다와 말꼬투리를 잡으면서 화를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때일 수록 차분하고 낮은목소리로 요목조목 따져가며 팩트만 따지는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이 부모님의 꾸지람에 대해서 반항을 한다는것은 심각한 문제로 보입니다. 우리아이가 부모님을 자기 밑으로 보고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이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아이의 훈육을 철저하게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아이와의 서열 정리를 위해서는 아이가 오열을 하고 땀을 뻘뻘흘리는 한이 있더라도 꼭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지금상태로 부모님이 밑이라는 생각으로 계속해서 지내게 된다면 부모님의 훈육은 효과가 없을것이며, 아이가 자기가 하고 싶은것만 하게끔 만들어 질겁니다.
아이에게 혼을 낸다는 게 화를 내거나 나무라는 걸 의미하는데요. 진정한 의미의 훈육은 화를 내거나 혼내는 게 아니라 아이에게 정말 도움이 되는 이야기들을 해주는 게 바로 훈육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껏 해오셨던 훈육 방법과 정반대로 차분하게 아이와 눈을 마주치며 소통을 한다는 기분으로 이야기를 해 보시면 어떨까요.
반항하는 아이의 경우 그것이 아이의 감정의 표현의 방식인데
그 방식이 잘못되어있다는 걸 인식시키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이과정이 일방적이면 안되고, 상호간의 대화가 되어야합니다.
하지만 잘못된 부분에 있어서는 일관된 규칙을 유지해야 합니다.
차분히 대화로 해결하되, 일관된 자세가 중요합니다.
아이의 나이와 반항의 정도에 따라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할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어느정도 성장하면 자기 주장이 강해지는시기가 있습니다
화를내거나 반항할떄는 기다려주시면서 아이가 진정되도록하는것이 좋으며
이후에 아이가진정되면 이러한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훈육해주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