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초록산
초록산

물질주의는 무조건적으로 나쁜 걸까요?

물질과 돈의 소유에 높은 중요성을 두는 것이 물질주의인데요. 실제로 물질주의가 강한 사회는 장단점이 무엇인지와 우리나라는 물질주의가 강한 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물질주의가 무조건 나쁜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물질주의가 없었다면 사람들은 이렇게 열심히 일하고 돈을 벌고 경제 활동을 하 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간혹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에 날씨가 좋고 따뜻한 지역 그리고 먹을게 자연적으로 풍족한 지역에서는 사람들이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먹고 살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경제가 발전하지 않는 있는 곳들이 많이 있습니다. 물질주의적인 욕심이 없으면 발전이 훨씬 약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물질을 많이 갖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우리나라는 특히 그 물질을 갖는 것을 자랑 용도로 쓰고 남을 깎아내리는데 쓰는 것이 잘못됐다고 생각을 합니다 6.25를 전하면서 워낙에 못 살았기 때문에 그러한 교육을 받고 자랐다고 하는 의견도 있더라고요 천민자본주의 냉정한 자본주의라고 해서 물론 성장을 하는 데는 도움이 되겠지만 남을 깎아내리고 짓밟아 버리면서까지 부자가 되려는 그런 부분이 좋지는 않겠지요

    과거 우리나라 어떤 대통령도 주가 조작을 해서 돈을 많이 벌었지요 그런데 그때 수백 수천 명의 피해자들은 얼마나 불쌍한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래 기사 제목만 봐도 아시겠지만, 우리나라 물질주의 강한편입니다.

    무조건 나쁜건 아닙니다. 현재 자본주의사회에서는 자본이 최고인데, 이게 있어야 내 소중한 가족도 지킬수 있으니까요. 돈으로 내 가족을 만들수는 없지만, 그래도 병원비, 식비 등으로 같이 지내고 지킬수는 있습니다. 돈이 없으면 불행합니다.

    우리나라 이런 이유는 경제성장이 요인이 큰거 같습니다. 다른 나라는 서서히 이룬거를 우리는 약 50년만에 이뤘죠. 한강의 기적이라는 말이 있는 것 처럼요.

    그러니 자본주의는 성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여기저기 부자들은 막 등장하고, 또 인터넷 보급은 세계최고 수준이니까 SNS로 서로 비교 되고 해서 갈등이 심화되는거 같습니다.

    자본을 얻으려고 노력해서 그만큼 사회가 발전하는 것도 있지만, 부를 이룬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갈등도 심화되는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물질주의는 개인과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이를 무조건 나쁘다고만 보기는 어렵습니다. 물질주의가 강한 사회에서는 경제 성장이 촉진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물질적 성취와 소비를 목표로 삼기 때문에 더 많은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져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물질적 보상을 추구하는 개인의 성향이 혁신과 경쟁을 촉진하여 사회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반면, 지나친 물질주의는 사회적 불평등과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물질적 소유가 중요하게 여겨질수록 소득 격차나 자산 격차가 두드러지고, 이를 줄이려는 개인과 사회의 압박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개인의 행복보다는 외적 성공을 중시하게 만들며, 지속적인 소비와 경쟁에서 오는 피로감이 누적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물질주의 경향이 강한 편으로 평가되며, 사회에서 성공과 부의 상징이 중요한 가치를 차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경제 성장을 촉진하지만 동시에 개인과 사회에 많은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