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호야맘
호야맘
23.01.02

갑자기 의자에 앉았다 일어나는데 어지러워요

나이
58
성별
여성

갑자기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나는데 어지러워요~ㅠㅠㅠ

그리고 몸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것 같고 느글 거리고 그러네요

왜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1.02

    안녕하세요. 호야맘 님.

    이석증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셔서, 진료받고 검사받고 치료받으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말씀해주신 증상은 기립성 저혈압등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누워있다가 일어날 때나 앉았다가 일어나거나 할 때 어지러움이나 현기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기증상 관련해서는 신경과 진료를 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앉았다가 일어날 때 느끼는 어지러움 때문에 걱정이시군요.

    갑자기 일어나거나 오래 서있거나 할때 시야가 어두워지면서 현기증을 느끼는 경우는 기립성저혈압으로 인한 증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시야가 어두워지고 속이 울렁거리는 실신 전 증상을 경험하게 되고, 심하면 실신을 하기도 합니다.

    이런 현기증이 느껴질 때는 실신할 때를 대비하여 버티려고 하지 말고 그 자리에 앉거나 눕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일어날 때는 반드시 단계적으로 천천히 일어나는 것이 좋습니다. 옆에 잡을 것이 있다면 잡고 일어나는 것이 좋습니다.

    실신 자체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실신을 하면서 2차적으로 다치는 것을 조심해야 합니다.

    증상이 계속될 때는 순환기내과에 가셔서 진료를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추천과 좋아요 버튼을 도움이 된 답변에 눌러주시면 더욱 좋은 답변들이 아하 플랫폼에 순환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기립성 저혈압 증세가 발생한것으로 보입니다.

    혈관 탄력성이 떨어지고 심장 기능이 약화되는 노년층에서 머리로 순간적으로 피가 잘 가지 않아서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 기립성 저혈압 증상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사람이 앉아있거나, 누워있으면 (상대적으로) 피가 아래로 쏠리는데

    갑작스럽게 일어나면, 순간적으로 혈관/근육의 수축하면서 머리로 피를 올려주는데

    그 반응이 늦어지면 순간적으로 어지럽게 됩니다. (빙하고 도는 느낌)

    약물 부작용 / 노화 / 교감 신경 , 심장 등 내과적 문제 등으로 자주 나타날 수 있으며

    내과 / 신경과등 방문하셔서 원인을 찾아보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심하지 않으면, 충분한 수분 섭취 , 자세 변경시 천천히 움직이기 등을 추천드립니다)

  •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증상은 기립성 저혈압의 전형적인 증상으로 보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자세 변화가 변화함에 따라서 (특히 앉거나 누워있다 일어날 때) 발생하는 혈압의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대부분은 혈압이 일시적으로 떨어지더라도 금방 회복하는 인체의 반응을 보이는데, 몸에 탈수가 있는 등 컨디션이 저조하거나 체질적인 원인에 의해서 흔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건강 상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부정맥, 서맥 등의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과거에 검사를 받아보신 적이 없다면 심장혈관내과에서 진료 및 검사를 한 번 받아보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또한 도움이 될만한 요소로 평소에 일어날 때 단계적으로 일어나는 습관을 기르시고, 충분한 수분 섭취, 식이 및 휴식을 통해 몸 컨디션을 최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누워있다가 앉거나 서는 즉 머리의 위치가 갑자기 심장보다 높아지면 순간적으로 수압차에 의해서 머리로 가는 혈류가 줄어들어서 어지러움을 느끼게 되는 현상입니다. 보통 사람들은 이런 상황에서 교감신경이 작동해서 다리에 있는 혈류가 빠르게 심장으로 들어오면서 그 혈류를 다시 머리로 보내줘서 어지럽지 않지만 이 기능이 좀 떨어지는 사람들에서 기립성 저혈압이 생깁니다.

    보통 특별한 치료 없이 일어나기 전에 다리를 좀 움직이고 일어나거나 일어날때 확 일어나지 말고 천천히 일어나는 방법을 쓰라고 이야기 하며 만약 어지러움이 나타나면 머리를 아래로 떨어트리는 (책에는 머리를 두 다리 사이에 넣으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행동을 통해 어지러움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어지러움도 어지러움 이지만 심하면 순간적으로 기절까지 할 수 있기 때문에 어지러움이 느껴지면 꼭 머리를 아래로 떨어트리는 동작을 취하시기 바랍니다.

    또 도움이 될 방법은 음식을 짜게 먹는 방법입니다. 짜게 먹는게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안좋은 행동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작성자분처럼 기립시에만 나타나지만 저혈압이 유발되는 분이라면 혈압을 조금 높이기 위해 짜게먹는 식습관을 시행해 보기도 합니다.

    만약 증상이 심하면 midodrine, fludrocortisone 같은 교감신경 항진 약물이나, 당질 코르티코이드 제제의 약물을 복용하는 방법까지 있으니 너무 불편하시면 병원 방문하셔서 복용해보시는 것도 방법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