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기특한고슴도치297
기특한고슴도치297

퇴직연금dc 은행계좌에서 정기예금 상품은 금리높은걸로 선택하는게 좋을까요?

퇴직연금 은행dc계좌에서 예금상품은 저축은행예금이 금리가 높던데 이종목으로 매입하면 될까요? 제1금융권 은행들은 금리가 낮던데 어떤걸 선택하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저축은행의 상품으로 하셔도 됩니다

    • 5천만원까지 보장해주는 것은 1금융권과 동일하기 때문에 자금을 5천만원 이하로

      각 2금융권에 투자하면 더 높은 금리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퇴직연금에서 운용되는 정기예금 상품도 예금자보호대상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제2금융권이나 저축은행상품을 선택하셔도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예금자보호대상 한도만큼 고금리 예금을 선택하고 나머지는 1금융권을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축은행예금이 보통 1금융권보다는 금리가 좋은 편이 맞습니다.

    5,000만원까지는 저축은행도 예금자보호가 되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하나 추천드리자면 정말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는, 예금자보호가 되어도 번거로운 상황이 생기기 때문에

    가능하면 저축은행 중에서도 재무구조가 좋은 곳을 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저축은행과 같은 경우에도

    5천만원까지도 DC형에서 보호가 되기에

    이자율이 높은 것을 택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많은 분들이 퇴직연금 DC 계좌 운용에서 금리 고민을 많이 하시더라고요. 저도 비슷한 결정을 할 때 신중했던 기억이 납니다.

    퇴직연금의 목적은 안정적인 자산 증식이기에 금리 높은 저축은행 예금은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다만, 퇴직연금에서는 원리금 보장이 핵심인데, 저축은행의 경우 예금자 보호 한도(최대 5,000만 원)를 초과할 경우 리스크가 생길 수 있습니다. 제1금융권은 금리는 낮아도 안정성과 신뢰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우선 포트폴리오를 분산하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저축은행 예금으로 일부 자금을 운용하되, 안전성을 위해 제1금융권 상품도 병행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퇴직연금 dc형 계좌에서 정기예금을 선택할 때 금리가 높은 상품을 고르는 것은 수익률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저축은행 예금은 일반적으로 제1금융권보다 금리가 높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더 높은 이자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저축은행의 예금상품을 선택할 때는 금리 외에도 금융기관의 안정성과 예금자 보호 한도(최대 5천만 원)를 고려해야 합니다.

    제1금융권 예금은 금리가 다소 낮더라도 안정성과 신뢰도가 높아 퇴직연금의 장기적인 자금 운영에서 안정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큰 금액을 예치하거나 장기적으로 운용하려는 경우에는 안전성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1금융권의 정기예금 상품은 다양한 조건과 옵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자신의 투자 목적과 필요에 따라 맞춤 선택이 가능합니다.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 예금과 안정성을 중시하는 제1금융권 예금의 장단점을 비교한 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금자 보호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자산을 분산하거나, 정기예금 외에 안정적인 채권형 펀드나 mmf 같은 상품을 함께 고려하면 더 나은 수익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저라면 인지도 있는 즉 규모 있는 저축은행 권에서 금리 높은 곳으로 선택하겠습니다. 머지않아 예금자 보호 법도 개정되어 보호한도도 높아질 것으로 보이고 현실적으로 망할 가능성이 낮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퇴직연금 계좌에서 정기예금 상품 금리 높은 것 선택이 좋은 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정기예금은 원금 보전이 되면서 이자가 생기기에 나쁜 선택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