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적자 왜 이렇게 심한 건가요 궁금합니다?
뉴스에서 무역 적자가 몇 달째 계속되고 역대 최대라고 하길래 궁금해졌어요. 수출보다 수입이 많아서 적자라고 하는데, 왜 요즘 이렇게 무역수지가 나쁜 걸까요? 특정 산업이 문제인지, 아니면 전반적인 경기 때문인지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계속 적자가 나면 우리 경제에 큰 타격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무역은 잘 몰라서요 ㅠㅠ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무역적자라는 게 단순히 수출보다 수입이 많다는 숫자 싸움으로 끝나는 건 아닙니다. 요즘은 특히 에너지와 원자재 값이 많이 뛰어서 우리나라가 필수적으로 들여와야 하는 물량이 예전보다 훨씬 비싸졌습니다. 반대로 먹여 살리던 반도체는 경기 꺾이면서 수출 단가가 떨어지고 물량도 줄었죠. 그러니 구조적으로 적자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 만들어진 겁니다. 자동차나 배터리 같은 품목이 잘 나간다고 해도 전체 무역 구조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을 메우긴 어렵습니다. 해외 수요가 둔화된 것도 발목을 잡고 있고요. 몇 달 연속 적자가 이어지면 외화가 줄고 환율이 불안해지는 파장이 생기는데 그게 또 다시 수입 물가를 끌어올립니다. 이런 게 겹치니 적자 뉴스가 계속 크게 들릴 수밖에 없는 거고 당분간은 답답하게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현재 흑자인 상황입니다.
https://stat.kita.net/stat/kts/sum/SumImpExpTotalList.screen
다만, 최근의 물가상승이나 글로벌 경기 둔화 등에 대한 부분은 분명한 리스크이며 미국의 관세정책 또한 우리나라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여파로 무역적자가 장기간 지속되면 외환부담과 경제성장에 부담이 될 수 있으며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현재로서는 무역흑자를 달성하고 있으며 적자가 아닙니다. 적자의 경우 코로나 시절에 원유가격의 상승 및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 것이며 현재는 흑자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 최대 수출국인 미국에 대한 수출이 줄어들 우려가 있어 4분기에는 적자가 발생할 가능성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