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인간 DNA 의 모든 정보를 전부 파악 했나요??

안녕하세요.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면 난치병을 낫게 할 수 있고

장수 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 긍정적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인간 DNA의 어느 위치는 유전병을 유발 시킨다와 같이

DNA에서 특정 위치가 가지고 있는 기능들을 알고 있어야 할텐데요.

인류는 현재 DNA 의 모든 정보를 전부 파악했나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2002년 쯤 게놈프로젝트에 의해 23쌍에 대한 유전정보 해석이 거의다 이루어 지긴 했지만, Y 염색체에 대해서는 완벽히 이루어지지는 않은상태였습니다.

    2022년에서야 공백이었던 8%정도의 유전정보를 모두 채워서 확인하여 게놈지도를 완성하였다고 합니다.

    게놈지도의 공개를 통해 특정 유전질병들이 속속 발견되고 있기도 하고, 유전자치료제의 개발도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앞으로는 이러한 유전자 치료제나 유전 치료 기능을 탑재한 세포나 나노파티클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양산화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각광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2003년도에 인간 게놈 프로젝트는 성공적으로 끝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는 그것을 바탕으로 여러 연구들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인간 DNA 서열 전체를 해독하는 큰 진전이 있었지만, 아직 DNA의 모든 정보를 완벽히 이해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DNA 서열을 밝혀내는 것과 그 서열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파악하는 것은 다른 문제입니다. 현재로서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영역의 기능을 대략 파악할 수 있지만, 비암호화 영역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부분이 미지의 영역입니다. 따라서 DNA 정보를 완전히 해독하고 유전자 조작 기술을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입니다.

  • 인간 게놈 프로젝트는 1990년에 시작되었고 프로젝트는 20003년에 끝이났지만 당시 8%는 해독하지 못한채 남았습니다. 하지만 연구가 계속되어 22년도에 남은 서열까지 모두 분석을 완료하였습니다.

    덕분에 많은 질병에 관해 연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만 질병과 관련한 변이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사람들의 유전자 서열을 확보해야 합니다.

    22년도에 70명 이상의 게놈을 해독하였고 목표는 350명 이상을 해독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옛날에 비해서 염기서열을 파악하는 기술이 발달하였기 때문에, 연구 속도는 더 빨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 인류는 인간이 가진 DNA의 염기서열을 해석하는 프로젝트인 휴먼게놈 프로젝트를 1990년에 시작하여 2003년 인간 게놈지도를 완성하였습니다. 2003년 비로소 인간 DNA의 모든 염기서열이 밝혀진 것이죠. 하지만 질병이나 수명 등 인간 유전자에 관련된 연구는 그 이후로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도 새로운 연구결과들이 계속해서 발표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2001년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완성을 통해 우리는 약 30억 쌍의 DNA 염기서열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DNA의 염기 서열을 파악했다고 해서 그 서열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모두 알게 된 것은 아닙니다.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해서 유전자의 기능을 실험적으로 조작하고 결과를 통해 기능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DNA의 많은 부분은 해독이 되고 있지만 그 기능을 완전히 이해하고 모든 정보를 파악하려면 많은 유전학과 유전공학 분야의 연구가 필요합니다.

  • 인간 DNA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직 많은 부분이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습니다. 현재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인간의 유전체를 연구하고 있지만, 이를 완전히 이해하고 해독하는 데에는 여전히 많은 연구와 시간이 필요합니다.

  • 유전자 지도는 염색체(DNA)에서 유전자의 위치와 유전자 간의 상대적 거리를 나타낸 지도인데요, 국제 공동연구진은 인간게놈프로젝트(HGP)가 앞서 규명하지 못했던 게놈 지도의 남은 8%를 해독하는데 성공하며 사상 최초로 완전한 형태의 인간 게놈(유전체) 지도를 완성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유전체 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다운증후군 등의 질환이나 난임 문제 해결, 인간 진화의 기원과 경로를 밝히는 연구, 개인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유전자 변이를 찾아내고 건강을 유지하는 데 활용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 인간 개놈 프로젝트를 통해서 사람이 가지고 있는 유전자를 전부 분석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이 유전자가 각각 어떤 기능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파악이 되지 못한 상태입니다 주요 유전자 질환에 대해서는 연구가 되어 있지만 그렇지 않은 다른 부위에서는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