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7.12

조선 성종대 편찬된 동국여지승남은 어떠한 내용을 다룬 서적인가요

1469년 조선 성종 때 동국여지승람이라는 서적을 편찬한 것으로 기록으로 전해집니다 동국여지 승람은 어떠한 내용을 다룬 서적인지 그 내용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전기 지리서로 중요한 위상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방 사회와 관련된 거의 모든 분야를 소개하고 설명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1486년(성종 17)에 완성된 인문지리서이다. 권1~2는 경도京都, 권3은 한성漢城, 권4~5는 개성開城, 권6~13은 경기도, 권14~20은 충청도, 권21~32는 경상도, 권33~40은 전라도, 권41~43은 황해도, 권44~47은 강원도, 권48~50은 함경도, 권51~55는 평안도의 인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머리에 그 도의 전도全圖를 싣고 이어 연혁沿革, 풍속風俗, 묘사廟社, 능침陵寢, 궁궐, 관부官府, 학교, 토산土産, 효자, 열녀, 성곽, 산천, 누정樓亭, 사사寺社, 역원驛院, 교량, 명현名賢의 사적, 시인의 산천이나 누정 등을 대상으로 주변의 풍광과 이를 보는 감흥을 읊은 시가詩歌인 제영題詠 등을 실었다. 이 중 풍속 편에서 다양한 형태의 민속놀이를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한국민속예술사전


  • 안녕하세요. 안경국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국여지승남(東國輿地勝覧)은 조선 성종대(1470년대)에 편찬된 지리 서적으로, 조선시대의 지리와 역사, 문화, 토지의 특징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은 조선시대의 지리 학문 발전과 조선 정부의 지리 관리 정책을 반영하고 있으며, 조선시대의 동향과 실정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습니다.


    동국여지승남은 "동국"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조선의 동쪽인 경상도와 함경도,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리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은 지리적인 특징, 주요 지형과 수도, 강과 호수, 도로와 거리, 토지의 이용과 작물 생산, 지방의 사회적, 경제적인 특성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동국여지승남은 지리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역사, 문화, 풍속, 토지의 이용 방식, 도로 및 교통망 등의 사회, 경제적인 요소에 대한 내용도 다룹니다. 또한 지리적 위치에 따른 기후, 자원, 생태계 등도 다루어 조선시대의 자연 환경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을 주었습니다.


    동국여지승남은 조선시대 지리 서적 중에서 가장 유명하고 규모가 큰 서적 중 하나로, 조선시대 지리 학문과 지리 관리에 대한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조선시대의 지리적인 이해와 조선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연구에 큰 도움을 주었으며, 현대에도 지리와 역사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에게 가치 있는 자료로 여겨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