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대출

더없이소문난아보카도
더없이소문난아보카도

DSR 얘기가 많이 나오던데 무슨말인지

작은 가게를 하고 있는데

있는데요즘 경기가 너무 어려워

대출 하려고 하는데

요즘엔 Dsr 자격이 필요 한가요?

DSR이 정확히 무슨뜻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DSR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라고 합니다. 이는 개인의 모든 대출에 대한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연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1년 동안 갚아야 할 모든 대출 원금과 이자를 합한 금액이 내 연봉에서 얼마만큼의 비중을 차지하는지를 보여주는 비율입니다.

    DSR 계산 방식

    DSR =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 (연 소득) X 100%

    여기서 '모든 대출'에는 주택담보대출뿐만 아니라 신용대출, 자동차 할부, 학자금 대출, 마이너스 통장 대출 등 개인이 보유한 모든 금융권 대출이 포함됩니다.

    DSR은 가계부채의 건전성을 관리하고, 개인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 이상의 대출을 받는 것을 막아 과도한 부채로 인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규제입니다. DSR 비율이 높으면 소득 대비 갚아야 할 돈이 많다는 뜻이므로, 금융기관은 대출 심사 시 DSR비율을 중요하게 보고 대출 한도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DSR은 DEBT SERVICE RATIO로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의 소득 대비 전체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말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DSR에 대한 내용입니다.

    DSR이란 Debt to Service Ratio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입니다.

    이는 대출자의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제한해서

    가계 부채 증가를 억제하는 정책입닏.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DSR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ebt Service Ratio)’의 약자로, 쉽게 말해 본인의 연 소득 대비 1년 동안 갚아야 할 모든 대출의 원리금(원금+이자) 비율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연 소득이 5,000만 원이고, 1년간 갚아야 할 대출 원리금이 2,000만 원이라면 DSR은 40%가 됩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대출 상환 부담이 크다고 판단되어, 금융기관에서는 DSR을 기준으로 대출 한도와 가능 여부를 심사합니다.

    요즘에는 대출을 받을 때 DSR 규제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 대출을 많이 받으려면 DSR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은행권 대출은 DSR 40%, 2금융권은 50%를 넘지 않아야 추가 대출이 가능합니다. 즉, 소득에 비해 대출이 많으면 한도가 줄어들거나 대출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 대출도 최근에는 DSR 심사를 참고하는 경우가 많으니, 대출 전 본인의 소득과 기존 대출 상황을 미리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DSR은 연 소득 대비 갚아야 할 모든 대출의 원리금 비율입니다. 예를 들어 4천만원 연소득자의 연 원리금 상환액이 2ㅊ천만원이라면 DSR은 50%가 되는 것입니다. 대출 심사 기준이 되면서 중요해졌고 일정 비율을 넘으면 대출이 제한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DSR총부채원리금 상환비율입니다. 코로나이후 정부가 가계대출규제를 위해서 기존의 DTI를 넘어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DSR로 대출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DTI는 기존의 소득대비 이자에 대해서 상환비율을 나타낸것이라면 DSR은 원리금 상환비율을 나타낸 더욱 고도화된 규제라고 보시면됩니다.

    즉 모든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에서 연간소득을 나눈비율이 DSR이며 이 DSR비율이 어느비율인지에 따라서 총 받을 수 있는 대출금이 정해지게 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dsr이라고 하는 것은 나의 연소득에서 내가 갚아야 할 대출의 원리금의 합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dsr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가계의 운영에 부담이 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dsr의 통제를 통해 보다 건강한 가계생활을 할 수 있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계의 부채에는 주택담보대출이나, 학자금, 자동차 대출, 신용 대출 등 각종 대출이 모두 포함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DSR은 연소득 대비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말합니다.,

    대출 심사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연소득이 4천이고 모든 대출에서 갚아야할 연간 원리금이 2천만이면 DSR은 50%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DSR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입니다.

    이는 연간 소득 대비해서 모든 대출 원금과 이자 상환액이 어느정도 비율인지 계산하는 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대출의 한도와 금리가 산정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DSR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말해요.
    쉽게 말해 내 소득 대비 모든 대출의 원금과 이자를 얼마나 갚아야 하는지를 따지는 지표예요.

    예를 들어 연소득이 5천만 원인데 1년에 갚아야 할 대출 원리금이 2천만 원이면 DSR은 40%가 돼요.


    요즘에는 대출 심사에서 이 DSR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하기 때문에, 가게 운영하더라도 소득이 증빙되지 않으면 원하는 금액을 빌리기 어려울 수 있어요.

  • DSR이란 1년 동안 갚아야 할 모든 대출(원금과 이자) 금액이 연소득의 몇 %인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대출자의 상환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DSR을 적용하는데 소득에 비해 너무 많은 대출을 받지 못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개인사업자가 사업자금대출이나 신용대출을 받을 경우에도 적용되는데, 개인사업자의 경우는 DSR을 적용하지 않는 정부지원 상품도 있으니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개인의 연간 소득 대비 모든 대출(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자동차 할부 등)의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연소득이 5000만원이고, 1년간 갚아야할 대출 원리금이 2000만원이면, DSR은 40% 입니다.

    DSR 규제는 대출자의 상환 능력 범위 내에서 대출을 받도록 제한하는 장치로, 은행권은 40%, 비은행권은 50%까지 대출 한도가 정해집니다. DSR이 높을수록대출 상환 부담이 커지므로, 추가 대출이 어렵거나 한도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 DSR은 대출을 할때 내 소득 조건에 맞춰서 대출을 해주는 조건입니다.

    보통 주택담보대출의 DSR은 40% 입니다.

    이는 내 연봉이 5000만원일때 그 40%인 2000만원까지만 대출의 원리금을 갚는데 사용할 수 있는 한도만큼 대출을 해주는것입니다.

    다만, 사업자 대출의 경우는 DSR을 보지 않는 상품들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