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과 바다 사이에 사는 물고기는 어떻게 살아가나요?
우리가 민물고기나 혹은 바닷 물고기 같은경우 서로 다른곳에 넣으면 죽을수가 있는데요.
강과 바다 사이에 사는 물고기는 어떻게 살아나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
강과 바다에 사는 물고기는 모두 삼투압 조절이 가능한 호흡 기관을 갖기에 강과 바다 모두에서 생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네, 말씀하신 것처럼 일반적인 경우와는 달리 강과 바다 사이에 사는 물고기들은 기수역이라는 염도(소금 농도)가 중간인 환경에서 살아가는데요, 이런 환경은 강물이 바다로 흘러드는 하구나 강어귀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사는 물고기들은 염도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특별한 생리적 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민물과 바닷물 사이를 오가며도 생존할 수 있는데요, 이러한 물고기들을 양수성 어류(유어성 어류, euryhaline fish)라고 부르며 대표적으로 연어, 뱀장어, 농어, 숭어, 황복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물고기의 생존은 삼투압과 관련이 있는데요, 물고기 몸속의 염분 농도와 외부 수중 환경의 염분 농도 사이의 차이를 조절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민물에서는 물이 물고기 몸 안으로 계속 들어오고, 염분은 몸 밖으로 빠져나가려 하기 때문에, 신장은 묽은 소변을 많이 배출하고, 아가미는 염분을 흡수하여 균형을 맞춥니다. 반면에 바닷물에서는 물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고, 염분은 몸 안으로 들어오려 하기 때문에,물을 적게 마시고, 아가미와 신장을 통해 염분을 배출합니다. 기수역 어류의 적응 능력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양수성 어류는 이런 삼투조절 메커니즘을 상황에 따라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데요 예를들어 연어는 민물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자라다가 다시 산란을 위해 민물로 돌아옵니다. 이 과정에서 호르몬(예: 코르티솔, 프로락틴 등)이 변화해 아가미와 신장의 기능을 바꾸며 염도에 적응합니다. 일반 어류와의 차이로는 민물고기나 바닷물고기는 특정 염도에만 적응되어 있어서, 갑작스러운 염도 변화에 노출되면 삼투압 불균형으로 세포가 손상되고 결국 죽게 됩니다. 하지만 기수역 어류는 염도의 점진적 변화에 대응하는 유전자 발현과 호르몬 조절 시스템이 매우 발달해 있어 생존이 가능하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강과 바다 사이 어류가 환경에 조절을 하는데요
염도 변화에 맞춰 아가미, 신장 기능을 조절해 체액 농도를 유지할수 있답니다.
강과 바다 사이에 있는 지역을 기수 지역이라고 합니다.
이곳은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곳이라 염도 변화가 매우 심합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민물고기나 바닷물고기는 염도 변화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살 수 없지만, 기수 지역에 사는 물고기들은 나름 특별한 생존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특별한 것이 삼투압을 조절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입니다.
물고기는 몸속의 염분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아가미와 신장에서 염분을 능동적으로 흡수하거나 배출하고, 소변량을 조절하기도 하는 것이죠. 이는 다른 지역에 서식하는 물고기와는 상당히 다른 능력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생리적 적응 덕분에 염도 변화가 큰 기수 환경에서도 성공적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강과 바다를 오가는 물고기들은 삼투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어 민물과 바닷물의 염분 차이에 맞춰 몸속의 수분과 염분을 조절하며 살아가며, 연어,뱀장어,숭어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감사합니다.
강과 바다 사이에 사는 물고기는 삼투압 조절 능력이 뛰어나서 염분 농도 변화에 적응하며 살아갑니다. 이들은 염분이 낮은 민물에서는 몸으로 들어오는 물을 소변으로 많이 배출하고, 염분이 높은 바닷물에서는 빠져나가는 수분을 채우고 과도한 염분만 몸 밖으로 내보내는 방식으로 체내 수분과 염분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연어나 뱀장어가 대표적인 예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