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사막의 밝은 별빛  나그네65
사막의 밝은 별빛 나그네6523.11.14

한자성어 "난공불락"의 유래는 어떤 이야기인가요?

난공불락은 공격하기 어렵고 함락시키기 어려운 상황을 나타내는 뜻인데요...

난공불락의 유래는 어떤 이야기에서 나온것인지 설명바랍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갈량이 진창성을 함락시키기 위해 여러 공격을 시도했으나 실패한 후에 탄식하며 한 말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후한서의 황보숭전에 기록된 일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전해지며, 고려시대 이후부터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난공불락(難攻不落)'은 공격하기가 어려워 함락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중국 삼국시대 제갈량이 진창성을 함락시키기 위해 여러 공격을 시도하다 실패한 후 탄식하며 한 말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난공불락(難攻不落) 상대가 강하고 능력이 뛰어나서 이겨내거나 공략하기가 어렵거나 상황이 좋지 않아 헤쳐 나가기 힘들 때 주로 쓰는 사자성어인데요. 유래는 삼국 시대 유래된 고사 성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난공불락의 유래는 제갈량이 성을 함락시키고 여러 차례 공격을 했다가 탄식하며 한 말이 유래가 됩니다.

    제갈량이 2차 북벌을 위해 산관을 통과한 후 진군하여 진창에 도달, 전창성에는 학소라는 장수가 1천 여명의 병사와 함께 수비를 했고 제갈량은 온갖 수단을 가리지 않고 맹공을 퍼부으나 결국 함락시킬수 없었습니다. 20여일이 지난 후 위나라의 지원군이 도착하자 제갈량은 군사를 물렸고 2차 북벌은 학소의 활약으로 실패, 제갈량은 탄식하며 난공불락 이라는 말을 언급했습니다.

    제갈량 이전 후선서 황보숭전에 난공불락이 이미 언급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