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식물의 2차세포벽은 왜 죽은 세포벽이라고 부르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식물의 경우에 셀룰로오스와 펙틴으로 이루어진 1차 세포벽은 살아있는 세포벽이라고 표현하지만 그 내부에 생기는 이 차 세포벽은 죽은 세포벽이라고 표현하던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2차 세포벽은 리그닌이 침착되어있어 매우 두껍고 단단해져서 세포가 더이상 커지거나

    분열하지못하고 결국 원형질이 소멸해서 기능적으로 죽은세포로 남게됩니다.

    그래서 2차 세포벽은 살아있는대사활동이아닌

    구조적인 지지와 수송통로로 사용되기때문에

    죽은 세포벽이라 불리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식물의 2차세포벽은 세포의 생명 활동이 멈춘 후에도 남아 있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죽은 세포벽'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2차세포벽은 주로 물관이나 섬유세포와 같은 특정 식물 세포에서 형성되죠.

    식물의 1차세포벽은 세포가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을 때 형성되는 얇고 유연한 벽입니다. 이 벽은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펙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가 팽창하면서 크기를 키울 수 있게 해줍니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세포가 살아 있으며, 물질대사와 성장이 활발하게 일어나죠.

    하지만 식물 세포가 충분히 성장하여 더 이상 크기가 커지지 않게 되면, 일부 세포들은 2차세포벽을 형성하기 시작합니다. 2차세포벽은 1차세포벽의 안쪽에 단단하게 쌓이는 구조로, 주로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이라는 성분으로 구성되는데, 리그닌은 나무를 단단하게 만드는 주요 물질로, 세포벽을 목질화 시켜 높은 강도와 방수성을 가지게 만듭니다.

    그런데 이러한 2차세포벽이 형성되고 목질화되는 과정에서, 세포는 물질 교환이 차단되고, 세포 내의 원형질체, 즉, 세포질이나 핵 등 살아 있는 부분이 점차 퇴화하여 결국 죽게 되고 그 세포는 더 이상 살아 있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게 됩니다.

  • 식물의 2차 세포벽은 세포의 성장이 끝난 후 형성되며, 리그닌을 포함하여 단단하고 방수성이 강한 물질로 구성됩니다. 이 세포벽은 세포의 지지 및 보호 역할을 하지만, 물질 교환이 어려워져 세포질의 활동이 정지하거나 소멸하게 만듭니다. 결과적으로 2차 세포벽을 형성한 식물 세포는 생명 활동을 멈추기 때문에 죽은 세포벽으로 불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2차 세포벽에는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이 많이 포함되어있어서 단단하고 불투수성이 됩니다.

    그래서 세포내용물이 더이상 대사하기가 힘들어지고

    세포가 사멸하게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죽은세포벽이라고 불리웁니다.

  •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신 것과 식물 세포벽을 "살아있는 세포벽"과 "죽은 세포벽"으로 구분하는 표현은 세포의 생리적 상태와 기능과 관련이 있는데요, 우선 1차 세포벽은 세포가 분열하고 자라날 때 처음 형성되는 세포벽으로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펙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유연하고 신장성이 좋습니다. 세포가 성장하면서 늘어나야 하기 때문에 가변적인 구조이며, 이 시기의 세포는 대사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살아있는 원형질(세포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살아있는 세포벽이라고 부릅니다. 반면에 2차 세포벽은 세포가 성장을 멈춘 후, 1차 세포벽 안쪽에 새롭게 침착된 세포벽인데요, 셀룰로오스가 훨씬 조밀하게 배열되고, 리그닌(lignin) 성분이 침착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단단하고 불투수성이 큽니다.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세포벽이 두꺼워져서 더 이상 신장이 불가능해지며, 리그닌 등의 성분으로 인하여 물질 교환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결국 내부 원형질이 죽게 되어서 죽은 세포벽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