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티딘은 어릴 때만 필수 아미노산에 해당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20종류의 아미노산 중에서 몇 가지는 반드시 외부에서 섭취해야 하는 필수 아미노산으로 알고 있는데요, 왜 히스티딘은 어릴 때만 필수 아미노산에 해당하는 것인가요?
질문해주신 필수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충분히 합성되지 않아 반드시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는 아미노산을 의미하는데요, 히스티딘은 어른과 어린이를 구분하여 조건부 필수 아미노산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어린 시절은 빠른 성장과 조직 발달이 일어나는 시기인데요, 어린이는 근육, 장기, 혈액, 효소 등 다양한 조직을 빠르게 합성하며 히스티딘은 특히 헤모글로빈, 히스타민, 효소 단백질 등 중요한 기능성 단백질의 전구체로 필요합니다. 이때 성인에서는 히스티딘을 다른 아미노산이나 5-아미노이미다졸 유도체를 통해 충분히 합성할 수 있지만 어린이는 이러한 합성 경로가 미성숙하여 충분히 작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섭취하지 않으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린이의 경우에는 체내 합성 능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히스티딘은 필수 아미노산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히스타딘은 성인에서는 합성 휴율이 충분하지만
어린이에게는 효율이 낮답니다.
그래서 어릴떄 필수적을 ㅗ먹는건데요
성인이 되셔도 음식으로 계속 섭취하게 된답니다.
어린이의 성장 속도 때문입니다.
즉, 히스티딘은 성인이 되면 몸에서 충분히 합성할 수 있지만, 어린이는 성장 속도가 빨라 히스티딘의 필요량이 많은데 비해 체내 합성만으로는 부족하긱 때문에 어린이에게만 필수 아미노산으로 분류되는 것입니다.
좀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히스티딘은 성인의 경우 체내에서 필요한 만큼 충분히 합성할 수 있지만 어린이는 성인보다 성장이 활발하긱 때문에 세포 성장과 조직 재생에 필요한 히스티딘의 요구량이 훨씬 많습니다. 따라서 체내에서 합성되는 양만으로는 성장에 필요한 양을 충당하기에 부족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추가적인 섭취가 필요한 것입니다.
성인은 체내에서 필요한 만큼의 히스티딘을 스스로 합성할 수 있지만, 유아와 어린이는 빠른 성장 속도에 비해 체내 합성량이 요구량을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성장기에는 단백질 합성과 조직 발달을 위해 많은 양의 히스티딘이 필요하므로, 음식물을 통해 반드시 섭취해야 하는 필수 아미노산으로 분류되지만, 성인이 되면 체내 합성만으로 충분해지므로 조건부 필수 아미노산으로 간주됩니다.
안녕하세요.
"효소"와 "발달" 때문입니다.
어릴 때와 성인이 되었을 때의 효소의 발현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히스트딘을 만드는 효소는 어릴 때는 발현이 안되었다가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발달 과정) 중에서 그 효소가 발현이 되어 활성화가 됩니다.
추가로,
발달을 하는 과정 중에서 필요한 히스티딘의 양이 만들어지는 양에 비해서 많기 때문입니다.
즉, 저장된 히스티딘으로도 충분한 히스티딘 공급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효소"의 부족(유전자 발현)과 "부족한 히스틴 양"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