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3.12.17

미국은 어째서 기준금리를 표현 할 때 범위로 표현 하나요?

우리나라는 기준금리를 발표 할 때 정확한 숫자인 3.5%, 3% 이런식으로 표현 하는데, 미국은 3.25~3.5% 이렇게 범위로 표현 하잖아요. 왜 구체적인 목표치를 발표 하는 게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에 대한 표시를 범위로 하는 것은 미 연준은 연방은행들의 연합체로서, 주의 연방은행들에게 기준금리에 대한 범위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자율적인 금리 설정을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금리를 범위로 지정한다고 해요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를 특정 숫자가 아니라 0.25% 범위로 설정하는 이유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유동성 확보와 부작용 완화: 기준금리를 특정 숫자가 아닌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는 시장의 유동성을 조절하고 부작용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범위 설정은 기준금리를 엄격하게 고정하는 대신, 특정한 경제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미국 경제의 안정성과 유연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정책의 유연성: 기준금리를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연방준비제도는 경제 상황에 따라 정책을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집니다. 경제 상황이 변동하거나 예측이 어려운 경우, 기준금리를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적절한 통화정책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제의 변동성에 대응하면서도 예측 가능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 기준금리를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연방준비제도는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특정한 숫자로 기준금리를 설정하는 대신, 범위를 사용함으로써 시장 참여자들은 미래의 통화정책 방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는 통화 시장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0.25%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경제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하고 정책을 조정할 수 있으며,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미국의 통화정책을 더욱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를 표현할 때, 범위로 설정한 이유는 시장 금리를 연방기금금리 범위 안에 두기 위해서입니다.

    실제 시장 금리가 목표치와 상이하게 움직이는 과거 데이터를 통해, 목표치와 실제 금리의 격차가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연방준비제도는 2008년 12월 말부터 연방기금금리를 범위로 바꾸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같은 경우에는 각 연방마다 기준금리의

    다소 차이가 있고 이에 따라서 범위를 설정하여

    기준금리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에서 이자를 안주면 아무도 돈을 맡기고 빌리지 않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시간을 거슬러 2008년 금융위기로 돌아가보자. 당시 경제가 박살나면서 미국 Fed가 제로금리를 선언했다. 이때 처음 등장한 것이 바로 기준금리 범위(Range/Band)이다. 당시 0.00%~0.25%로 발표하였는데 이에 대한 일차원적인 해석은 기준금리를 0%로하면 상업은행에 돈이 안들어옴 > 돈이 안돌게 됨 > 금융시스템 붕괴의 단초가 될 수 있음과 같다. 이를 방지하고자 0.00%~0.25%로 제시하여 상업은행이 0.1, 0.2 등으로 기준금리를 조정할 수 있는 여유를 주고, 지급준비율을 개선할 여력을 주기위한 조치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