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ABO식 혈액형은 어떻게 항원에 노출되지 않았는데도 미리 항체를 가지고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ABO식 혈액형에서 A 형의 경우에는 응집소 베타를 가지고 있는데 이처럼 항원에 먼저 노출된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미리 항체를 가질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ABO식 혈액형의 항체인 anit-A와 anti-B의 경우 보통 IgM 형태로 태어날 때부터 혹은 생후 몇 달 내에 자연적으로 생기는데요 특별히 수혈이나 혈액세포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도, 우리 몸이 외부 환경 속에서 비슷한 구조를 경험했기 때문에 덕분에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ABO 항원의 본질은 적혈구 표면의 당 사슬 구조인데요, 장내 공생하고 있는 세균의 세포벽에도 이와 매우 유사한 구조의 당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서 A형인 사람은 자기 적혈구에 A 항원이 있으므로 anti-A는 만들지 않습니다. 하지만 B형 구조와 유사한 세균을 만나면, 그걸 비자기적인 항원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anti-B 항체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세균의 당항원과 교차 반응 때문에, 태어나서 자연적으로 ABO 항체가 형성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ABO식 혈액형에 대한 항체는 장내 세균과 같은 외부 항원에 노출되면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출생 후 장내 세균 등 다양한 환경 항원에 노출되는데, 이들 중 일부가 A형 또는 B형 항원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혈액형에 없는 항원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외부 항원에 반응하여 항체가 생성되며, 이는 혈액 수혈과 같은 특정 노출 없이도 해당 혈액형 항체를 미리 보유하게 되는 원리가 됩니다.

  • 면역 시스템의 자연적인 반응, 즉 자연 항체 때문입니다.

    사람은 태어나면서 부터 다양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음식물 등에 노출되는데, 그 중 일부 미생물의 표면 구조가 ABO 혈액형 항원과 유사한 당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장내 세균의 세포벽에 있는 당 구조가 B 항원과 비슷한 경우, 면역계는 이를 외부 침입자로 인식하고 anti-B 항체를 생성하게 됩니다. A형 사람은 B 항원이 자기 몸에 없기 때문에, 이런 항체가 생성되어도 자기 적혈구를 공격하지 않죠.

    결론적으로 ABO 혈액형 항체는 면역계의 자연스러운 학습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외부 항원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도 환경 속 유사 항원을 통해 항체가 형성된 것이죠.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ABO 혈액형 항체는 자연항체입니다.

    장내 세균이나 환경속 다당류와 구조가 유사한 항원에 자연스럽게 면역반응을 하면서 만들어지고, A나 B 항원에 노출된적이 없어도, 미생물 노출을통해서 만들어진 항체가 혈액형 불일치 반응을 일으킬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