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금리 인하한다는데 집을 사야 하나요?
하반기에는 미국을 비롯한 유럽 등 전세계 은행들이 금리를 인하한다는데 그러면 주택가격이 폭등한다고들 하는데 그 전에 미리 집을 사놔야 할까요?
아무래도 금리가 인하되면 매수를 못했던 만큼 매수자가 늘어날수 있습니다
공급이 많으면 그래도 균형이 맞는데 서울은 많이 부족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26년도부터는 입주물량이 거의 없어서 전문가들은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오른다고 내다보는데 매수를 해야한다면 내년초까지 기회를 보시기 바랍니다
하반기에는 미국을 비롯한 유럽 등 전세계 은행들이 금리를 인하한다는데 그러면 주택가격이 폭등한다고들 하는데 그 전에 미리 집을 사놔야 할까요?
==> 현재 서울 부동산 정보광장 자료를 눈여겨 보면 각 지역별로 저렴한 물건위주로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또한 기준금리 인하여부를 검토하고 있고, 건축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있고 수도권에 아파트 공급량이 격감하여 내년 상반기부터 주택이 급등할 가격이 높아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만 보면 금리가 떨어질때 부동산 가격이 올라가긴하지만 반듯이 그런다고 장담하기는 어렵습니다.
집 값을 구성하는 요소는 다양하며 금리외에도 여러 요소가 영향을 미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금리인하를 한다 하더라도 바로 올라갈 지 혹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금리인하는 좋은 시그널은 맞지만 과거를 돌이켜 보더라도 금리 인하한다고 하여 집값이 상승하거나 바로 하락하거나 한다는 것은 잘못이해하고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경제가 무너져도 금리는 인하 합니다. 과거 금리 인상 및 금리 인하로 인해서 집값이 조금 씩 꿈틀대기는 했지만 결국 금리 인하 후 몇년이 지나 집값이 많이 뛰었습니다. 같은 현상이 반복될 수도 있지만 아닐 가능성도 뱆제하지 못합니다.
그러니 투자를함에 있어서 실거주라면 괜찮지만 섣부른 투자로 인해서 오랜기간 금리에 대해서 대비해야 할지도 모릅니다.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금리 인하가 되면 주택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지만
수학 공식처럼 금리 인하 = 집 값 상승 이런 개념은 아닙니다.
반대로 금리가 내려도 집 값이 떨어질 수 있고요.
결과적으로 무주택자 일 경우, 원리금 계산해보시어 감당 가능하다 하시면
매수를 하는걸 권합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주택을 구매할 때는 금리뿐만 아니라 개인의 재정 상황, 투자 목적, 지역 시장 동향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미래의 시장 상황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금리가 인하된다고해도 주택가격이 바로 폭등할 가능성은 희박합니다. 우선 금리가 내려갈 경우 주택구입자금 조달이 용이해 수요가 증가될 가능성은 있지만, 현재 고물가와 내수경기침체, 그리고 부동산 pf대출위기등 아직 해결되지 않은 악재들이 그대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금리인하가 주택가격을 극적으로 끌어올리기에는 한계가 있어보입니다. 그리고 현재 미국기준금리가 연내 6회에서 3회로 줄어들었고, 현재까지도 실제 인하는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가장 영향력이 큰 미국금리가 인하되어야 우리나라 금리도 인하를 고려해볼수 있고, 현재 미국과의 금리차가 있기 떄문에 미국이 큰폭으로 내린다고 해도 우리나라가 이보다 더 큰폭으로 인하하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인하하기에도 부담스럽기 떄문에 일단은 관망하는 자세로 흐름을 지켜보시는게 맞을 듯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미국이야 하반기 금리인하 가능성은 있지만 우리나라는 높은 환율,금리격차로 인해 금리인하가능성이 매우낮습니다. 금리를 내린다고해서 무조건 부동산가격이 상승하는것도 아닙니다.
금리를 인하 한다면 전반적으로 집값의 상승 요인인 것은 사실입니다. 기존에 금리와 상관 없이 이미 반등한 서울 핵심지뿐만 아니라 이제 금리가 낮아지게 되면 서민들의 집값도 다시 반등을 빠르게 할 것으로 보이므로 아직 전고점 대비 20~30% 하락하여 있는 주택들은 매수를 하여도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