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그럭저럭진귀한간장게장
그럭저럭진귀한간장게장

바이러스 감염 순서? 관련 질문합니다

[1] 침투 (Attachment & Entry)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표면에 달라붙고 세포 안으로 들어감

[2] 유전물질 주입 (Uncoating)

껍질을 벗고 RNA 또는 DNA를 세포 안에 풀어놓음

[3] 복제 및 단백질 합성 (Replication & Translation)

세포의 리보솜과 효소를 이용해 바이러스 유전물질을 복제하고 단백질을 만듦

[4] 조립 (Assembly)

복제된 유전물질 + 단백질이 새 바이러스 입자로 조립됨

[5] 방출 (Release)

새로운 바이러스들이 세포 밖으로 나가 다른 세포를 감염시킴

이 순서로 이루어지는게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네, 맞습니다. 질문하신 바이러스 감염 과정은 전형적인 바이러스 복제 주기의 순서를 잘 정리한 것이며,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침투 (Attachment & Entry)
      바이러스는 먼저 숙주 세포 표면의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는데요, 이 결합은 열쇠와 자물쇠처럼 매우 선택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런 다음 바이러스는 세포막을 뚫거나 세포 내로 흡수되어 세포 안으로 들어갑니다.

    2. 유전물질 주입 (Uncoating)
      바이러스가 세포 안으로 들어가면, 바이러스 껍질(캡시드)을 벗고 내부의 유전물질(RNA 또는 DNA)을 노출시킵니다. 이 단계는 바이러스가 본격적으로 숙주 세포를 이용하기 위한 준비 과정입니다.

    3. 복제 및 단백질 합성 (Replication & Translation)
      숙주 세포의 효소와 리보솜 등을 이용해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을 복제하고, 필요 단백질(캡시드 단백질, 효소 등)을 합성합니다. 이 단계는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핵심 과정입니다.

    4. 조립 (Assembly)
      복제된 유전물질과 합성된 단백질들이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로 조립됩니다. 이는 마치 조립식 장난감을 만드는 것처럼, 유전물질을 캡시드 단백질로 감싸는 식으로 이루어집니다.

    5. 방출 (Release)
      새로 만들어진 바이러스 입자들은 세포 밖으로 나가 다른 세포를 감염시키기 위해 방출됩니다. 일부 바이러스는 세포를 터뜨려 방출되고(용해), 일부는 세포막을 감싸며 빠져나갑니다(출아).

    이 순서는 대부분의 바이러스(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IV 등)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며, 일부 바이러스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기본 틀은 같으며, 따라서 정리하신 감염 과정은 매우 정확한 이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네, 일반적인 바이러스의 감염 및 복제 순서가 맞습니다.

    보통 바이러스의 생활주기는 '부착 - 침투 - 탈각 - 복제 및 유전자 발현 - 조립 - 방출'의 순서입니다.

    그러니 말씀해주신 순서가 맞는 것이죠.

    하지만, 그래도 하나 정도 짚어보자면 말씀해주신 부분에서 침투와 유전물질 주입을 따로 말씀하신 것을 봐서는 부착 및 세포 내 진입 후에 탈각이 일어나는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한 과정이 아닌가 싶긴 합니다. 실제 과정에서는 침투와 동시에 또는 침투 직후에 탈각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네, 제시하신 바이러스 감염 순서는 일반적으로 맞습니다.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에 침투하여 유전 물질을 주입하고, 세포의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을 복제한 후 새로운 입자를 방출하여 다른 세포를 감염시키는 과정을 거칩니다.